[워싱턴 저널] '빅딜과 굿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빅딜이 깨지고 있다.
우리 사회를 환란의 늪에서 헤어날 수 있게 해 줄 수 있는 요술방망이처럼
여겨져 왔던 빅딜이 경제에 깊은 상처만 남긴 채 미숙 미완의 실망 방망이로
전락할 위기에 직면해 있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자민련 박태준 총재가 6일 삼성과 대우그룹간의 빅딜 실패와 관련, "자동차
이원화가 최적의 해법이라고 판단해 삼성-대우 빅딜그림을 그린 것 같은데
결과적으로 잘못됐다"고 비판한 것은 이같은 분위기를 대변한다.
이제와서 곱씹어 보면 우리가 진정으로 관심을 가지고 추진했어야 할 것은
빅딜이 아니라 굿딜(good deal)이었다.
우리는 기업의 질이나 그동안 형성돼 온 문화는 무시한 채 기업의 크기에만
얽매인 양적 빅딜만을 강조해 왔다.
많은 국민들은 그간 이루어진 빅딜 모두가 자발적인 것이었다기 보다는
인위적인 것이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시장경제를 강조해 온 신정부로서는 논리적으로 가장 큰 번민을 하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이었음에 틀림없다.
굿딜의 전제조건은 모든 사람이 즐거워해야 한다는 것이다.
파는 사람도 사는 사람도 손해를 보지 않았다는 생각을 할 수 있어야 진정한
의미의 굿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반도체부문을 사고 판 현대와 LG는 원만히 사고 판 것처럼 되어 있지만
양자 모두 만족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알고 있는
사실이다.
현대는 현대대로 너무 비싸게 주고 샀다고 생각하고 LG는 LG대로 팔기 싫은
것을 팔았다는 분위기라는 후문이다.
둘을 구태여 합쳐야 한다는 명분도 그리 명쾌한 것은 아니었다는 지적도
많다.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겠다"는 국가적 노선이 설정되었지만 그 가장
기본이 되는 자본주의적 원칙이 무시된 사례가 도처에서 발견되었고 결과적
으로는 오래 남을 불씨가 만들어지고 말았다.
일부에서는 기아와 현대자동차의 합병은 잘된 것 아니냐는 평가를 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자동차산업 구조조정의 본질은 조립공장들 간의 합병이 문제가
아니라 자동차의 핵심을 만들어 내는 부품업체 즉 뿌리산업의 구조조정이
더 시급하고 중요한 것이었다는 주장이 많다.
박총재가 "나는 당초 빅딜이 처음 나왔을때 현대자동차가 삼성자동차를
인수하고, 삼성반도체는 LG반도체를, LG는 현대석유를 각각 인수했으면 훨씬
더 빅딜이 빨리 됐을 것으로 봤다"고 말한 부분에 대해 "빅딜보다는 굿딜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한 일이었다"는 뜻으로 해석하는
사람이 많다.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빅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토양이 배양되어
있지 않다.
왜냐하면 기업이라는 상품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서류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자그마한 가게 하나를 사고 팔려고 해도 완벽하고 투명한 서류와 장부
그리고 실물확인과정이 반드시 있게 마련이다.
하물며 조 단위의 기업을 사고 팔면서 상대방의 부채가 얼마나 되는지
실물은 얼마나 있는지 도무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는 아예 거래란 단어가
우스꽝스러워진다.
정부는 정부 나름대로 외국투자자들의 신뢰회복이 급선무인 상황에서
외국인들이 강조하고 있는 재벌의 구조조정을 수수방관하고 있을 수만은
없는 일이었을 것이다.
그렇다고 산술원칙에 어긋나는 거래까지 무리하게 추진되어야 한다고
주장할 수는 없는 일이다.
한국기업의 구조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을 펴는 외국투자자들은
많이 있지만 "기업부문의 구조조정=빅딜"이라는 등식을 말하는 외국투자자는
찾기 어렵다.
빅딜은 한국적 상황이 고려된 특수용어에 불과하다.
따라서 그 시발점부터 다시 점검해 볼 필요가 있는 사안이다.
< 워싱턴 특파원 양봉진 http://bjGlobal.co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7월 8일자 ).
우리 사회를 환란의 늪에서 헤어날 수 있게 해 줄 수 있는 요술방망이처럼
여겨져 왔던 빅딜이 경제에 깊은 상처만 남긴 채 미숙 미완의 실망 방망이로
전락할 위기에 직면해 있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자민련 박태준 총재가 6일 삼성과 대우그룹간의 빅딜 실패와 관련, "자동차
이원화가 최적의 해법이라고 판단해 삼성-대우 빅딜그림을 그린 것 같은데
결과적으로 잘못됐다"고 비판한 것은 이같은 분위기를 대변한다.
이제와서 곱씹어 보면 우리가 진정으로 관심을 가지고 추진했어야 할 것은
빅딜이 아니라 굿딜(good deal)이었다.
우리는 기업의 질이나 그동안 형성돼 온 문화는 무시한 채 기업의 크기에만
얽매인 양적 빅딜만을 강조해 왔다.
많은 국민들은 그간 이루어진 빅딜 모두가 자발적인 것이었다기 보다는
인위적인 것이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시장경제를 강조해 온 신정부로서는 논리적으로 가장 큰 번민을 하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이었음에 틀림없다.
굿딜의 전제조건은 모든 사람이 즐거워해야 한다는 것이다.
파는 사람도 사는 사람도 손해를 보지 않았다는 생각을 할 수 있어야 진정한
의미의 굿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반도체부문을 사고 판 현대와 LG는 원만히 사고 판 것처럼 되어 있지만
양자 모두 만족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알고 있는
사실이다.
현대는 현대대로 너무 비싸게 주고 샀다고 생각하고 LG는 LG대로 팔기 싫은
것을 팔았다는 분위기라는 후문이다.
둘을 구태여 합쳐야 한다는 명분도 그리 명쾌한 것은 아니었다는 지적도
많다.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겠다"는 국가적 노선이 설정되었지만 그 가장
기본이 되는 자본주의적 원칙이 무시된 사례가 도처에서 발견되었고 결과적
으로는 오래 남을 불씨가 만들어지고 말았다.
일부에서는 기아와 현대자동차의 합병은 잘된 것 아니냐는 평가를 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자동차산업 구조조정의 본질은 조립공장들 간의 합병이 문제가
아니라 자동차의 핵심을 만들어 내는 부품업체 즉 뿌리산업의 구조조정이
더 시급하고 중요한 것이었다는 주장이 많다.
박총재가 "나는 당초 빅딜이 처음 나왔을때 현대자동차가 삼성자동차를
인수하고, 삼성반도체는 LG반도체를, LG는 현대석유를 각각 인수했으면 훨씬
더 빅딜이 빨리 됐을 것으로 봤다"고 말한 부분에 대해 "빅딜보다는 굿딜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한 일이었다"는 뜻으로 해석하는
사람이 많다.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빅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토양이 배양되어
있지 않다.
왜냐하면 기업이라는 상품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서류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자그마한 가게 하나를 사고 팔려고 해도 완벽하고 투명한 서류와 장부
그리고 실물확인과정이 반드시 있게 마련이다.
하물며 조 단위의 기업을 사고 팔면서 상대방의 부채가 얼마나 되는지
실물은 얼마나 있는지 도무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는 아예 거래란 단어가
우스꽝스러워진다.
정부는 정부 나름대로 외국투자자들의 신뢰회복이 급선무인 상황에서
외국인들이 강조하고 있는 재벌의 구조조정을 수수방관하고 있을 수만은
없는 일이었을 것이다.
그렇다고 산술원칙에 어긋나는 거래까지 무리하게 추진되어야 한다고
주장할 수는 없는 일이다.
한국기업의 구조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을 펴는 외국투자자들은
많이 있지만 "기업부문의 구조조정=빅딜"이라는 등식을 말하는 외국투자자는
찾기 어렵다.
빅딜은 한국적 상황이 고려된 특수용어에 불과하다.
따라서 그 시발점부터 다시 점검해 볼 필요가 있는 사안이다.
< 워싱턴 특파원 양봉진 http://bjGlobal.co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7월 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