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방송가가 13일 전국방송노조연합(방노련)의 파업돌입으로
어수선하다.

방노련은 정부여당의 "방송법안 개악"을 저지하겠다며 총파업이란 초강수를
택했다.

최악의 경우 일부 프로그램의 방영중단이나 공권력 투입등의 사태도
우려된다.

5년여 이상 미루어진 방송법 처리도 7월 임시국회내 통과가 불투명해졌다.

방노련은 통합방송법에 <>방송위원회의 독립성보장 <>공영방송사장
인사청문회 실시 <>노사동수의 편성위원회 구성 <>재벌.신문.외국자본의
위성방송진입 금지 <>상업방송의 소유지분 제한등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이 특히 문제삼는 부분은 KBS, MBC, EBS의 사장과 이사 선임권을 갖게
될 방송위원회 위원의 구성방식.

현안대로라면 방송위원 9명중 6명을 사실상 대통령이 임명하게 된다.

방노련은 이를 정부의 방송장악 의도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방노련의 연대파업은 시작부터 전열이 흐트러진 "일부의 총파업"이
됐다.

EBS노조는 자사의 독립공사화를 명시한 법안을 지지하는 입장인만큼 파업에
동참하지 않았다.

해당사항이 적은 SBS와 CBS도 발을 뺐다.

또 MBC는 공적기여금 출연 문제에서 상당부분 양보를 받아놓은 상황이다.

따라서 방노련의 이번 파업이 어느정도의 힘을 과시하며 뜻을 관철시킬지
미지수다.

일부에선 방노련이 내세우고 있는 요구사항이 사실상 "밥그릇 지키기"가
아니냐는 시선도 적지 않다.

위성방송 사업자인 DSM의 한 관계자는 "통합방송법 통과에 위성방송 사활이
걸려있다"며 "각 방송사들의 이해관계로 법안처리가 또다시 늦어진다면
우리는 어쩌란 말이냐"며 강력한 불만을 토로했다.

결국 방송사 노조가 벌이고 있는 연대파업의 성패는 국민들의 지지를 얼마나
얻을 수 있을지가 최대의 관건으로 보인다.

아울러 통합법안처리가 늦어질 경우에 따를 플러스 마이너스도 분명히
따져볼 일이다.

< 김혜수 기자 dearsoo@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7월 1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