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경영 따라잡기] 해외인증 : 수출의 필수요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시 구로구에 위치한 위성수신기 전문제조업체인 기륭전자.
이 회사는 올초 3명의 해외 바이어로부터 2천만달러어치의 제품을 5월께
선적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대상 제품은 수출전략 모델인 D9235.
당연히 기뻐해야 할 수출계약이었지만 기륭전자는 그때부터 큰 고민이
시작됐다.
북미지역에 수출하자면 미국의 안전규격(UL)이나 국가공인시험제도인
NRTL인증을 따야하기 때문이다.
기륭전자는 중소기업청에 SOS를 쳤다.
중소기업청 해외인증획득 지원사업에 신청한 것.
중소기업청은 즉각 최단기 획득 방법을 수배하는데 착수했다.
우선 해외 유명규격 컨설팅 기관으로 규모도 크고 신뢰도도 높은 원텍시험
연구소를 선정했다.
이 연구소는 미주지역으로 시료를 보내지 않고도 자체시험으로 인증획득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는 곳.
덕분에 기륭전자는 3주만에 NRTL을 땄고 5월에 2천만달러어치의 제품을
선적할 수 있었다.
-----------------------------------------------------------------------
이제 국제인증은 수출의 필수요건이 됐다.
국제인증을 받지 않고는 제품을 해외에 내다파는 것 자체가 거의
불가능하다.
실제로 반월공단의 자동차 부품업체 H사, 체온기를 만드는 경기도 시화공단
H통상 등 수출계약을 맺고도 현지 국제인증을 따지 못해 수출이 좌절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이같은 기술장벽으로 인해 지난 한햇동안 발생한 수출감소 피해가
2백5억달러에 달했다는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조사결과도 나와 있다.
한국의 수출품목중 기술장벽에 걸리거나 규제를 받는 품목은 연간
3백50억달러어치(산업기술백서)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기술장벽만 뚫는다면 신제품을 개발하거나 신시장을 개척하지 않더라도
연간 수백억원의 수출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얘기다.
"시장=세계시장"을 의미하는 21세기 글로벌 시대에는 내수만 바라보고
제조업체를 운영하다간 살아남기 힘든게 현실이다.
내수시장 장악이 어려운 중소기업엔 더욱 그렇다.
이런 점에서 국제인증은 중소기업의 중요한 21세기 생존전략인 셈이다.
그러나 국제인증 획득이 그렇게 쉬운 것만은 아니다.
중견업체인 경동보일러는 올초 보일러 업계 최초로 유럽의 CE마크를
획득했다.
이를 계기로 유럽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육성, 올 한햇동안 1천만달러어치를
유럽지역에 수출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워놨다.
그러나 CE획득으로 모든게 끝난 것은 아니다.
"네덜란드의 KEMA, 벨기에의 CEBEC마크 등 각국마다 별도의 인증제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개별 중소업체가 이를 모두 다 딴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조승규 전무)는 게 회사측의 설명.
더욱이 선진국들은 인증제도를 강화하는 추세여서 이런 중소기업의 고충을
날로 커지고 있다.
인증절차가 가장 까다로운 미국은 대표적인 국제규격인 UL의 영향력을
캐나다까지 확대, 캐나다와 미국을 포함하는 CUL마크를 제정하겠다고
선언했다.
유럽도 CE마크의 파워를 강화하고 있다.
올 1월부터는 해양설비지침(MED)을 CE의 강제인증분야에 새로 추가했다.
한국의 약 9백여개의 조선기자재 및 부품업체들이 CE없이는 유럽수출을 할
수 없게 된 것이다.
또 아르헨티나 정부는 지난 6월부터 IRAM(재료표준협회)마크를 받은
전기응용기기에 한해 판매할 수 있도록 새로운 강제안전규격을 신설했다.
이렇게 기술장벽은 날로 높아지고 있지만 수출 중소기업 2만5천개중
수출대상국이 의무화하고 있는 각종 인증을 딴 기업은 7.2%에 불과하다.
중소기업청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기업들의 해외인증획득을 지원하고
나선데는 이런 배경이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알려진 인증제도는 미국의 UL, 유럽연합의 CE, 독일의
VDE, 일본의 JIS 등 24개국 53종이 있다.
이 가운데 정부가 지원하는 국제인증은 미국 EU 일본등 한국 기업들의
주요 수출처의 14개 규격이다.
중소기업청은 이들 규격을 따는 중소기업에 인증비용의 70%까지 지원해주고
있다.
중기청은 올 상반기동안 총 58억원을 투입, 8백60개 기업의 국제인증 획득을
지원해왔다.
오는 2001년까지는 기계전기 분야 중소기업 2천5백개 업체를 선정, 외국인증
획득을 지원한다는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
< 노혜령 기자 hro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7월 14일자 ).
이 회사는 올초 3명의 해외 바이어로부터 2천만달러어치의 제품을 5월께
선적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대상 제품은 수출전략 모델인 D9235.
당연히 기뻐해야 할 수출계약이었지만 기륭전자는 그때부터 큰 고민이
시작됐다.
북미지역에 수출하자면 미국의 안전규격(UL)이나 국가공인시험제도인
NRTL인증을 따야하기 때문이다.
기륭전자는 중소기업청에 SOS를 쳤다.
중소기업청 해외인증획득 지원사업에 신청한 것.
중소기업청은 즉각 최단기 획득 방법을 수배하는데 착수했다.
우선 해외 유명규격 컨설팅 기관으로 규모도 크고 신뢰도도 높은 원텍시험
연구소를 선정했다.
이 연구소는 미주지역으로 시료를 보내지 않고도 자체시험으로 인증획득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는 곳.
덕분에 기륭전자는 3주만에 NRTL을 땄고 5월에 2천만달러어치의 제품을
선적할 수 있었다.
-----------------------------------------------------------------------
이제 국제인증은 수출의 필수요건이 됐다.
국제인증을 받지 않고는 제품을 해외에 내다파는 것 자체가 거의
불가능하다.
실제로 반월공단의 자동차 부품업체 H사, 체온기를 만드는 경기도 시화공단
H통상 등 수출계약을 맺고도 현지 국제인증을 따지 못해 수출이 좌절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이같은 기술장벽으로 인해 지난 한햇동안 발생한 수출감소 피해가
2백5억달러에 달했다는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조사결과도 나와 있다.
한국의 수출품목중 기술장벽에 걸리거나 규제를 받는 품목은 연간
3백50억달러어치(산업기술백서)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기술장벽만 뚫는다면 신제품을 개발하거나 신시장을 개척하지 않더라도
연간 수백억원의 수출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얘기다.
"시장=세계시장"을 의미하는 21세기 글로벌 시대에는 내수만 바라보고
제조업체를 운영하다간 살아남기 힘든게 현실이다.
내수시장 장악이 어려운 중소기업엔 더욱 그렇다.
이런 점에서 국제인증은 중소기업의 중요한 21세기 생존전략인 셈이다.
그러나 국제인증 획득이 그렇게 쉬운 것만은 아니다.
중견업체인 경동보일러는 올초 보일러 업계 최초로 유럽의 CE마크를
획득했다.
이를 계기로 유럽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육성, 올 한햇동안 1천만달러어치를
유럽지역에 수출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워놨다.
그러나 CE획득으로 모든게 끝난 것은 아니다.
"네덜란드의 KEMA, 벨기에의 CEBEC마크 등 각국마다 별도의 인증제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개별 중소업체가 이를 모두 다 딴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조승규 전무)는 게 회사측의 설명.
더욱이 선진국들은 인증제도를 강화하는 추세여서 이런 중소기업의 고충을
날로 커지고 있다.
인증절차가 가장 까다로운 미국은 대표적인 국제규격인 UL의 영향력을
캐나다까지 확대, 캐나다와 미국을 포함하는 CUL마크를 제정하겠다고
선언했다.
유럽도 CE마크의 파워를 강화하고 있다.
올 1월부터는 해양설비지침(MED)을 CE의 강제인증분야에 새로 추가했다.
한국의 약 9백여개의 조선기자재 및 부품업체들이 CE없이는 유럽수출을 할
수 없게 된 것이다.
또 아르헨티나 정부는 지난 6월부터 IRAM(재료표준협회)마크를 받은
전기응용기기에 한해 판매할 수 있도록 새로운 강제안전규격을 신설했다.
이렇게 기술장벽은 날로 높아지고 있지만 수출 중소기업 2만5천개중
수출대상국이 의무화하고 있는 각종 인증을 딴 기업은 7.2%에 불과하다.
중소기업청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기업들의 해외인증획득을 지원하고
나선데는 이런 배경이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알려진 인증제도는 미국의 UL, 유럽연합의 CE, 독일의
VDE, 일본의 JIS 등 24개국 53종이 있다.
이 가운데 정부가 지원하는 국제인증은 미국 EU 일본등 한국 기업들의
주요 수출처의 14개 규격이다.
중소기업청은 이들 규격을 따는 중소기업에 인증비용의 70%까지 지원해주고
있다.
중기청은 올 상반기동안 총 58억원을 투입, 8백60개 기업의 국제인증 획득을
지원해왔다.
오는 2001년까지는 기계전기 분야 중소기업 2천5백개 업체를 선정, 외국인증
획득을 지원한다는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
< 노혜령 기자 hro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7월 1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