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헌재 금융감독위원장이 내년초 다시 공적자금 투입방침을 밝히면서
은행의 2차 합병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좁은 시장에서 은행간 경쟁이 가열되고 합작.해외매각 은행들이 속속
등장, 내년엔 은행판도에 일대 변화가 예상된다.

금감위 관계자는 28일 "내년 상반기부터 은행 합병논의가 가시화 될 것"
이라고 내다봤다.

종전처럼 정부주도가 아닌 시장에 의해 자발적인 합병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시중은행들도 정부의 공적자금 재투입 방침이 2차합병 논의의 전주곡이
될 것으로 점치는 분위기다.

이런 전망의 근거는 대우 등 기업구조조정 및 새로운 자산건전성 분류기준
(미래상환능력) 적용의 결과로 은행간 우열이 뚜렷해지기 때문이다.

또 내년말까지만 예금원금의 전액 보호되므로 내년초부턴 1년짜리 정기예금
이 우량은행으로 몰리는 수신이동 현상도 두드러질 전망이다.

여기에다 제일.서울은행 해외매각 추진, 국민.주택은행의 합작은행 변신
등 경쟁판도가 급속히 바뀌고 있다.

대부분 은행들이 소매금융을 앞다퉈 강화하고 있어 모색, 한정된 시장에서
다수가 경쟁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도 합병가능성을 높이는 부분이다.

은행가에서 한동안 떠돌던 합병관련 루머는 <>한빛 조흥 등 대형은행의
선도은행화 <>국민 주택 등 소매금융 전문은행의 통합 <>신한 한미 하나 등
후발은행의 대형화 모색 등으로 요약된다.

해당은행들은 모두 부인하고 있다.

하나은행의 경우 직원들의 질의에 김승유 행장이 사내메일로 "합병을 전혀
검토한 바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새로운 자산건전성 분류기준에 따라 올 연말 은행의 대손충당금
부담이 적게는 5조원에서 많게는 20조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부실자산 규모에 따라 은행 수익성에 큰 차이가 나게
되고 수익을 못내는 은행들은 시장에서 버티지 못하는 환경이 만들어질 것"
으로 예상했다.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10% 밑으로 떨어져 공적자금을 지원
받아야 할 은행은 합병대상이 될 공산이 크다는 얘기다.

후발은행 관계자는 "당장은 증자 외자유치 등을 통해 덩치를 키우는데
주력하고 있다"며 "합병을 검토하진 않고 있지만 가능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고 말했다.

따라서 내년부터 합병논의가 가시화되고 2001년 이후엔 실제 시장에서
은행간 2차합병이 일어날 것이란게 정설화되고 있다.

합병이 어려울 것이란 시각도 없지 않다.

한빛은행 관계자는 "은행합병이 얼마나 어려운지 몸소 겪은 이상 자발적인
합병이 일어나려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연구원 관계자도 "은행들이 그동안 구조조정, 합병 등으로 자기몸
추스르기에도 바빠 새로 합병을 생각할 틈이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오형규 기자 ohk@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7월 2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