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 통합문제는 새삼스러운 얘기는 아니다.

농협 축협 임협 인삼협 수협 등 5개로 운영되는 협동조합은 오래전부터
농어민보다는 신용사업에 치중,돈벌이에 혈안이 되어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지난 90년 이후 협동조합을 개혁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았으나
협동조합 기득권층의 반발로 번번이 무산돼왔다.

협동조합 개혁이 가속화되기 시작한 것은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고 나서부터.

협동조합 개혁문제가 100대 국정개혁과제에 포함된데 이어 지난해 4월
협동조합개혁추진위가 결성돼 자율적인 개혁작업이 진행됐다.

그러나 농협에 흡수통합되는 것을 우려한 축협의 반발로 진전을 보지 못하자
정부는 지난 3월 협동조합 구조조정 개혁안을 내놓기에 이르렀다.

공룡화돼 있는 중앙회의 규모를 줄이고 조합원의 참여폭을 확대, 조합
임직원의 책임경영체제를 이루겠다는 것이 개혁안의 골자다.

당연히 축협의 반발이 본격화됐으며 노조를 중심으로 지역축협 조합장들이
통합반대 대중집회를 여러차례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박순용 전회장 등은 통합 중앙회내에서 축협이 독립법인화하는
타협안을 제시하기도 했으나 박 전회장이 지난 6월 해임되면서 축협은
통합반대로 방향을 선회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8월 1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