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법사위의 "옷로비 의혹"사건에 대한 청문회가 진상 규명에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비판 여론이 높아짐에 따라 여야는 26일 특검제 조기
도입을 통해 재수사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여야는 또 증인들의 진술내용을 면밀히 검토, 위증 사실이 드러날 경우
국회법에 따라 고발하고 청문회 제도 개선책을 모색키로 하는 등 후속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여야는 그러나 특검제를 둘러싼 의견 차이가 여전한데다 정기국회가 시작된
이후 특검제 도입이 가능한 만큼 "옷 로비 의혹사건"재수사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더욱이 여당은 이번 청문회를 통해 주요 쟁점에 대한 의혹이 대부분
규명됐다는 입장인 반면 야당은 검찰의 "짜맞추기식 수사"가 입증됐다고
팽팽히 맞서 있어 특검제 도입을 위한 여야 협상은 난항이 예상된다.

국민회의는 이날 오전 확대당직자회의에서 이번 청문회를 통해 "옷값 대납
요구"가 거짓임이 드러나는 의혹의 허구성이 대부분 대부분이 입증됐다고
의견을 모았다.

박상천 총무는 기자간담회에서 "그동안 야당이 제기해온 의혹이 청문회를
통해 사실무근임이 밝혀졌다"며 야당의 정치공세 차단에 나섰다.

국민회의는 그러나 옷로비 의혹에 대한 비난 여론이 증폭되고 있는 만큼
확실한 진상규명을 위해 특검제를 도입한다는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이날 오전 하순봉총장 주재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
서 특검제 도입의 시급성을 거듭 강조하고 여권에 공세를 취했다.

이사철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검찰의 연정희씨에 대한 면죄부 부여 및
김태정 전 총장 보호를 위한 짜맞추기 수사였다는 의혹이 짙어졌다"면서
"이제 진실을 밝힐 수 있는 유일한 길은 특검제임이 입증됐다"고 주장했다.

< 김형배 기자 khb@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8월 2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