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증권시장(주)은 30일부터 전산처리용량이 4배로 늘어나 5개월이상
지속돼온 매매체결 지연현상이 해소되게 됐다고 27일 발표했다.

그러나 좀 더 일찍 매매를 정상화, 투자자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었는
데도 증권전산(주)이 고의적으로 늑장을 부렸다는 지적이 제기돼 파문이
예상된다.

코스닥증권시장은 "전산용량 확대"를 발표하기에 앞서 이날 오전 코스닥
시장 매매체결 지연사태의 책임이 증권전산에 있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내놓았다.

증권전산이 전산처리 용량 확대 프로그램 작업을 약속기간(8월 9일)까지
충분히 끝낼 수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고의로 지연시켰다는 것이다.

코스닥증권시장(주)의 유시왕 전무는 "코스닥 전산기기를 증권전산 건물로
이전시키는데 반대를 표시하자 전산측이 프로그램을 제때 작동시켜 주지
않았다"고 말했다.

유 전무는 증권전산이 영업지배력 확대를 위해 전산기기 이전을 요구를
한 것으로 풀이했다.

이에 대해 증권전산(주)은 완벽을 기하기위해 미세조정 작업을 하다보니
프로그램 가동이 늦어졌다고 반박했다.

코스닥 투자자들은 이와관련해 "양측이 투자자를 볼모로 주도권 다툼을
벌인 것"라며 "이같은 일이 다시 일어나지않도록 시시비비를 분명히 가려야
한다"고 말했다.

주가가 반등세로 돌아선 주초부터 코스닥시장에서는 매매체결이 보통
1시간이상씩 지연됐다.

때문에 투자자들은 시세를 보지 못한채 주문을 내야하는 불편을 겪었으며
그로인해 손실도 적지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장 관계자들도 매도자의 경우 무조건 하한가 주문을 내고 반대로
매수자는 상한가로 부르는등 비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졌다고 설명했다.

금융감독원 자본시장감독국의 조영제 현물시장 과장은 "증권전산과 코스닥
간의 마찰이 있었던 것으로 보고 받았다"며 "실제로 증권전산이 고의로
프로그램 작업을 늦추었는지를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코스닥증권시장과 증권전산은 문제가 됐던 전산기기는 일단 지금처럼
코스닥증권에 두되 KAIST등에 용역을 의뢰해 발전계획을 수립키로 합의
했다고 밝혔다.

< 양홍모 기자 yang@ 조성근 기자 trut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8월 2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