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문자인 시그마(σ)는 통계학적 용어로 표준편차를 의미한다.

데이터들이 중심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규격의 중심과 규격 한계선 사이가 표준편차의 6배와 크기가 같을 경우
6시그마 수준이라고 평가한다.

예를들어 지름이 1cm인 볼트를 생산할 경우 1.021cm나 0.98cm 등과 같이
변동이 있게 마련이다.

이 변동을 산포라고 한다.

통계학에서 산포를 측정하는 방법중 하나로서 표준편차를 사용하는데
시그마는 이 표준편차를 나타내는 기호다.

만약 볼트의 지름이 0.95~1.05cm 사이의 제품을 합격품으로 할 경우 규격
한계값은 0.5cm가 된다.

그리고 산포의 측정값인 시그마(표준편차)가 0.0083이라고 할 때 규격상한
까지의 길이를 시그마값으로 나타내면 0.05/0.0083=6시그마가 된다.

반대로 산포가 커서 표준편차가 0.025일 경우 규격상한까지의 길이는
0.05/0.025=2시그마가 된다.

따라서 산포가 클수록 규격범위내에 들어올 가능성을 나타내는 시그마값
(규격한계값을 표준편차로 나눈 수치)은 낮아지며 제품의 불량률은 높아지게
된다.

6시그마 운동은 제품설계 제조및 서비스의 품질 산포를 최소화해 규격상한
과 하한이 목표로 정한 품질 중심으로부터 6시그마 거리에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6시그마 품질수준은 1백만개 제품중 불량이 단 3.4개이내인 수준이다.

이는 1백만중 1백개의 불량을 허용하는 1백PPM보다 산술적으로 따지면 30배
정도 발전된 것이다.

< 강현철 기자 hcka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8월 3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