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친환경적 제품 생산을 유도하기 위한
"환경마크"와 "환경친화기업" 제도가 도입 7년이 지나도록 아무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인증 획득에 따른 실질적 혜택이 없어 기업들로부터 철저히 외면당하는
것은 물론 정부 조차 무성의로 일관, 사실상 유명무실한 제도로 전락하고
있다.

31일 환경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환경마크제에 대한 기업과 업소의
참여도는 최근 들어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7년만해도 환경마크를 딴 상품은 1백86개 제품에 달했으나 지난해에는
1백34개로 줄어들었고 지난 7월말 현재는 1백10개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될 올 연말에는 지정상품수가 1백개 미만으로 떨어질
전망이다.

환경친화기업 제도 역시 중소기업이나 서비스업체들로부터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97년말 1백22개에 이르던 지정 업체수는 지난해 1백2개로 감소했다.

특히 올들어 지정기간이 끝났음에도 재신청하는 기업이 드물어 환경친화기업
제도의 존립에 대한 의문마저 제기되고 있다.

삼성지구환경연구소 김태용 수석연구원은 "환경마크와 환경친화기업 제도를
도입했을 당시에는 해당 기업과 상품 이미지를 제고시켜 환경과 경영 두
측면에서 모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됐다"며 "그러나 환경마크를 딴 제품의
매출이 올라가기는 커녕 재활용제품으로 인식돼 오히려 마케팅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형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가스보일러, 복사기, 에어컨, 세탁기, 의류 등은 환경마크 대상업종에
포함돼 있으나 인증을 받은 제품은 단 한개도 없는 실정이다.

세탁기의 경우 지난해 9월 3개사 26개 제품이 환경마크를 땄으나 현재는
1개사 3개제품으로 감소했다.

또 현대환경연구원의 설문조사에서도 소비자의 71.7%가 환경마크제도의
취지에 대해 모르고 있다고 답변, 이 제도가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이같은 상황은 국내에서 활동하는 외국기업에게도 마찬가지다.

지난 7년간 환경마크인증을 받은 기업은 물론 인증을 신청한 외국기업조차
전무한 실정이다.

환경마크제도가 철저히 외면당하고 있는 것이다.

외국기업의 한 관계자는 "환경마크를 따려고 하면 별 어려움없이 딸 수
있으나 굳이 비용을 들여가며 인증을 받아야 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고 밝혔다.

이에 따라 환경마크제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홍보와 함께 해당
기업에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도록 해야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환경전문가들과 기업들은 자율환경개선제도가 제대로 정착될 때까지만이라도
폐기물예치금이나 부담금의 일정 비율을 감면해주는 등 가시적인 "당근"을
제시해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 김광현 기자 kk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9월 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