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 차원에서 진행됐던 대우 구조조정이 계열사 단위로 바뀌면서 예상치
못했던 일들이 발생하고 있다.

대우전자는 지난 30일 교환이 돌아온 4억4천여만원의 진성어음을 막지 못해
한때 부도처리됐다.

대우 계열사별 채권단마다 계열사간 주고받은 물품대금을 상거래채권으로
분류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기업구조조정위원회는 계열기업군이 아닌 개별기업단위로 워크아웃을 추진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어느정도 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업구조조정위는 31일 6개 전담은행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대책반을 구성,
계열사별 워크아웃 과정에서 나타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 대우전자 한때 부도처리 =대우전자는 지난 30일오후 농협 남대문지점에
교환이 돌아온 진성어음 4억4천6백만원을 다음날인 31일 오전에도 막지 못해
부도처리됐다.

이 어음은 미국의 페어차일드코리아 등이 교환에 돌린 9건의 상거래 채권
이었다.

대우전자와 주채권은행인 한빛은행은 페어차일드에 새로운 어음을 받는
방식으로 만기를 연장해줄 것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농협 남대문지점도 이날 오전 대우전자가 자금을 결제하지 못하자 곧바로
부도처리했다.

결국 이날 오후 늦게 대우전자가 어음을 결제한 후 부도처리 취소를 요청해
사태를 무마했다.

대우전자는 "4억달러의 외상수출어음(DA)을 채권단이 매입했으나 일부가
다른 계열사에 지원돼 이같은 자금부족이 발생했다"며 "다른 협력업체의
물품대금은 모두 결제했으나 30일늦게 돌아온 어음은 막지 못했기 때문"
이라고 말했다.

한빛은행 관계자도 "대우전자에 지난번 1천5백억원을 지원했었는데 이중
1천억원이 쌍용자동차로 흘러들어갔다"며 "대우 계열사간 자금거래를 계속
한다면 제대로 워크아웃을 하기가 어렵다"고 하소연했다.

<> 뒤엉킨 대우 계열사간 채권채무관계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
대우는 자금여유가 있는 계열사가 다른 계열사에 자금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아 채권채무관계가 매우 복잡하다"고 지적했다.

대우 계열사간 자금거래의 역사가 뿌리깊을 뿐만 아니라 매우 광범위해
전모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는 얘기다.

또다른 문제는 대우 계열사간 물품거래대금 결제다.

예를들어 오리온전기 대우전자부품 등은 대우전자에 상당한 규모의 부품을
납품하고 있다.

이 물품대금을 상거래채권으로 분류할지 아니면 별도의 계열사간 물품거래
대금으로 분류해야 할지도 확정하지 못했다.

채권단의 이해관계까지 얽혀 있어 금방 해결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외환은행 관계자는 "계열사별로 워크아웃이 진행되다보니 이같은 일이
생겼다"며 "앞으로 채권단간에 분쟁거리가 많을 것"으로 예상했다.

<> 대우 주요계열사 채무현황 =대우 워크아웃이 계열사별로 진행됨에 따라
대우 채권자들도 계열사별로 채무상환비율이 달라진다.

회사내용이 괜찮거나 자산매각이 좋은 조건에 성사되는 기업에 돈을 빌려준
채권금융기관들은 높은 비율로 채무상환을 받을수 있다.

반면 반대의 경우 상당한 손실을 볼 수 있다.

채권단 관계자는 "대우그룹 전체가 아니라 계열사별로 재무구조를 따지고
채무구조조정을 하기로 했다"며 "대우여신이라고 해서 모두 동일하게 취급
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대우 계열사중 부채가 가장 많은 업체는 (주)대우로 지난 6월말 현재
20조원을 넘어섰다.

(주)대우는 은행에서 9조1천여억원, 투신에서 3조4천여억원을 각각 조달
했다.

대우자동차는 8조6천여억원의 부채중 2조1천억원을 은행에서, 1조7천억원을
투신에서 빌렸다.

대우중공업은 8조3천억원, 대우전자는 4조6천억원을 각각 조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 현승윤 기자 hyunsy@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9월 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