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의 종목당 투자한도 10%규정이 주식형펀드의 수익률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이를 확대해야한다는 주장이 펀드매니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이는 고객자산을 이용한 계열사 주가관리등의 부작용을 막기위해선 투자한도
를 축소해야한다는 정부 일각의 시각과 배치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8일 투신업계에 따르면 투신사 펀드매니저들은 펀드에서 동일종목을 펀드
자산의 10%이상 편입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는 규정 때문에 탄력적인 운용이
불가능해 수익률 관리를 제대로 할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예컨대 삼성전자의 경우 종목당 투자한도 10%에 묶여 삼성전자를 싯가비중
만큼도 펀드에 편입하지 못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싯가비중은 12%에 달하고 있다.

대부분의 펀드매니저들은 펀드를 운용할 때 종합주가지수를 따라가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삼성전자 한국전력등 핵심블루칩을 싯가비중만큼 편입해야
하는데 삼성전자의 경우 10%밖에 투자할수 없다.

게다가 최근처럼 삼성전자가 다른 종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클때
편입비가 저절로 10%를 넘어 초과분을 울며겨자먹기 식으로 처분해야 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다.

이재현 대한투신 펀드매니저는 "주가전망이 밝은 삼성전자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지 못함으로써 펀드의 수익률 상승이 둔해지고 결국 펀드가입자들만
수익이 줄어들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삼성전자를 싯가비중 만큼 편입하지 못하는 것도 문제지만 주가상승
으로 편입비가 10%를 넘을 경우 할수 없이 팔아야하는 게 더 문제"라고
설명했다.

종목당 투자한도는 역차별 문제점도 낳고 있다.

외국인들은 초우량주인 삼성전자를 언제나 마음대로 살수 있는데 국내
기관투자가들은 그렇지 못하다는 설명이다.

이같은 문제점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10% 한도제한이 펀드운용의 탄력성을
떨어뜨려 수익자의 이익이 침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나 펀드의 위험분산
등을 유도하기 위해 한도확대를 추가로 할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재정경제부는 최근 금융기관을 통한 재벌의 기업지배력 강화를 막기 위해
종목당 투자한도를 10%에서 오히려 7%로 줄이겠다는 방침이어서 투신업계의
큰 반발을 사고 있다.

< 장진모 기자 ja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9월 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