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로 들어선 선진국의 경우 노인을 대상으로한 실버산업은 놓칠 수
없는 시장이다.

영국의 경우 실버산업 규모가 전체의 40%에 해당한다.

미국은 1935년이후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이 되기 시작하면서 실버
산업 규모가 급팽창하고 있다.

여기에다 "남은 인생을 풍요롭게 살자"는 생각을 가진 노인들이 늘어 있어
실버산업 규모는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커질 전망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노인인구가 아직 3백20만여명에 불과하고 그나마 구매력
도 없어 실버산업이 거의 전무한 상태다.

실버상품에 대한 수요가 적어 대부분의 기업들이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는 것.

업계는 노인이 전체 인구의 14%선인 7백50만명을 넘어서고 이들이 상당한
구매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되는 2020년대에 가서야 실버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실버산업은 현재 노인복지법상 유료노인복지 시설로 개념이 한정돼 있다.

실버산업이 얼마나 천대를 받고 있는지 잘 드러나는 대목이다.

수익성이 없다는 이유로 실버산업이 괄시를 받으면서 주거시설이 이 산업의
전부인양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실버산업은 노후생활에 필요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영역으로 확대돼야 한다.

"실버산업은 새로운 밀레니엄에는 엄청난 가치를 창출하는 "플래티넘
산업"으로 비상할 겁니다"(신홍권 보건복지부 가정보건복지심의관)

<> 실버산업의 범주 =노인들이 편안한 노후 생활을 누리는데 필요한 모든
상품과 서비스를 실버 산업 범주에 넣을 수 있다.

주거 보건의료 노인용구 금융보험 레저 등 다양한 아이템이 개발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그런대로 활발한 분야는 노인용 주거시설.

그러나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선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유료 노인복지시설은 지난해말 현재 유료양로원 16개소, 유료요양소 4개소,
유료 노인복지주택 1개소등 총 21개다.

반면 미국의 유료 양로원 수는 무려 1천8백여개에 이른다.

일본도 3백개에 가깝다.

보건복지부는 이에따라 지난 96년말부터 국고 54억여원을 지원해 주거는
물론 오락.여가 시설을 두루 갖춘 종합복지타운을 건설, 실버타운의 전형을
제시하고 있다.

예정된 다섯곳중 경남 진주의 "상락원"이 지난 4월 문을 열었다.

노인들의 최대 관심사인 건강을 제대로 돌봐주는 노인전문병원도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전체 노인의 8%이상인 치매환자를 위한 전문요양시설의 설립은 절실한
과제이다.

노인용품이나 노인전용 금융상품도 앞으로 무한히 개발될 수 있다.

<> 실버산업의 걸림돌 =경제력을 갖춘 노인들이 많지 않다는 점이다.

실제로 유료 노인복지시설에 들어갈 때는 7천만원 안팎의 보증금이
필요하다.

노인들에겐 상당한 목돈이다.

이 때문에 21개 유료 노인복지시설의 정원은 2천90여명이나 실제 여기에서
생활하는 노인은 7백여명에 그치고 있다.

또 지난 93년 노인복지법을 개정하면서 노인복지의 유료화 개념이 도입돼
유료시설의 연륜이 이제 7년에 불과한 것도 또 다른 걸림돌이다.

유료복지시설이 늦게 선보여 아직도 이 시설을 일종의 격리 장소로 이해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 정책 지원 =실버산업의 "교두보"라고 할 수 있는 주거 분야의 발전이
최우선 과제이다.

복지부는 노인복지법상에 시설자금에서의 자기자본 비율을 폐지, 유료
복지시설의 설립을 촉진하고 있다.

민간자본의 투자를 활성화하자는 복안이다.

노인용구를 생산하거나 금융.보험 상품을 개발하는 업체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아직도 아쉬운 상태.

노인전문병원이나 치매병원 등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설립
촉진책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

노인문제 전문가들은 "자녀들과 떨어져 사는 노인을 위한 노인전용 아파트
건설과 집에서 노인을 돌봐주는 홈케어 서비스가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실버산업이 커나가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세대간 소득 재분배를
시급히 추진, 노인소득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 실버산업분야 ]

< 주거관련 >

<> 시설 : . 장기체재형 주택 - 실버타운, 전용맨션, 3세대주택, 주택개량등
. 케어관련 주택 - 유료노인홈, 유료너싱홈 등
. 단기체재형 주택 - 주간보호시설(Day Care Center)
<> 서비스 : . 개호, 급식, 목욕, 가사지원, 긴급통보서비스 등

< 의료관련 >

<> 시설 : . 노인전문병원, 노인검진센터, 건강관리센터
<> 용품 : . 노인성질환약품, 의료전문기기, 개호용품
<> 서비스 : . 의료요원의 알선, 파견, 가정방문 건강체크 등

< 문화관련 >

<> 서비스 : . 취업알선, 교육관련 서비스(노인대학 등), 관광,
레저/스포츠, 취미, 오락, 결혼서비스 등

< 금융관련 >

<> 상품 : . 공적연금, 사적연금(기업연금, 개인연금), 개호보험,
노후대비 연금형보험
<> 서비스 : . 신탁, 부동산관리

< 생활관련 >

<> 용품 : . 의류, 식품, 생활용품 등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0월 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