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35주년] 신주거문화 : 소비자에게 맡긴다..'입맛따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파트는 더이상 "먹고 자는 곳"이 아니다.
주거는 물론 문화생활 일까지 함께 하는 복합공간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당연히 아파트를 바라보는 수요자들의 시각도 달라지고 있다.
특징이 없는 아파트는 설 곳이 없다.
아파트가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바뀌고 있다.
획일적으로 지어진 아파트에 거주자들이 맞춰가며 살던 때는 지났다.
이젠 아파트가 거주자들의 입맛에 맞게 건립되는 시대다.
단적인 예가 선택형, 가변형아파트의 확산이다.
고객은 평면을 자신의 취향에 맞게 선택하거나 변형시킬 수 있다.
주택업체들은 시장의 주도권을 쥔 고객을 만족시키는 신상품 개발에 승부를
걸고 있다.
아파트 차별화 바람이 한층 거세질 수밖에 없다.
<> 선택형아파트 =같은 단지내 다양한 평면구조의 아파트를 건립해 여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아파트를 말한다.
수요자들은 동일한 평형이라도 가족수나 생활패턴 취미 등에 따라 가장
마음에 드는 평면을 고를 수 있다.
가족수가 많으면 방이 여러개인 평형을 선택하고 그 반대인 경우 거실이나
방의 면적이 넓은 곳을 택할 수 있다.
쌍용건설이 분양중인 경기도 용인 구성2차 쌍용아파트는 10가지 스타일을
선보이고 있다.
평면이 입주자의 생활방식이나 가족수 등에 따라 <>기본세대형
<>개인작업실형 <>응접실형 <>취미실형 <>개방거실형 등 5가지나 된다.
색상도 체리톤의 "엘레강스"와 흰색계열의 "네오모던" 등 두가지 스타일을
내놓았다.
벽산건설이 용인 수지읍 성복리에서 분양중인 "첼시빌II"도 6가지 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가족수가 많은 경우에 적합한 "패밀리타입" <>가족수가 적어 방이 적고
넓은 거실을 갖춘 "그랜드타입" <>가변형벽체를 둬 수시로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 "스페셜타입" 등이다.
<> 가변형아파트 =벽체를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는 아파트다.
가족구성원들이 분가 등을 통해 줄거나 늘었을 때 이에 맞는 공간구성이
가능하다는게 장점이다.
집안 분위기를 바꾸는데도 효과가 크다.
그러나 가변형아파트는 아직 국내에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건축방식이 까다롭기 때문이다.
벽체가 이동가능한 동시에 방음 방향 등 벽 고유의 기능도 유지해야 하는
점도 걸림돌이다.
그동안 가변형아파트를 많이 공급한 업체는 주택공사와 SK건설이다.
SK건설은 지난 96년 서울 마포구 당산동에 건립한 시티빌을 칸막이벽체를
사용해 구조를 바꿀 수 있도록 설계했다.
레일식으로 돼있어 필요에 따라 넣고 뺄 수도 있다.
현관 욕실 부엌을 제외한 공간에 설치할 경우 방을 분리하거나 합치는게
가능하다.
주택공사가 경기도 고양 능곡에 건설한 주공아파트는 수납형 벽체로
구성됐다.
바닥과 천장에 꼭 맞는 가구를 사용하고 2가지 가구유형을 제시해 수요자들
이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 주문형아파트 =평면이나 색상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삼성중공업은 서울 구의동 등지에서 주상복합 아파트 "쉐르빌"을 공급하면서
"맞춤시공"을 도입했다.
입주자가 원하는 대로 내부공간과 인테리어를 만들어주는 방식이다.
입주자가 컴퓨터를 통해 다양한 평면을 미리 설계해보고 마음에 드는 것을
주문하면 된다.
SK건설도 "맞춤아파트"를 선보이고 있다.
아파트 분양과정에서 수요자와 상담을 통해 평면구조 색상 인테리어 등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수요자들이 인터넷을 통한 가상 모델하우스를 방문해 의견을
제시하는 방식도 인기를 끌고 있다.
<> 전망 =아파트는 일반주택과 달리 건물의 하중을 별로 받지 않는 비내력벽
이 많아 주문형이나 가변형 벽체사용이 늘어날 전망이다.
최근 철골조아파트가 고가에도 불구하고 각광받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건물이 장수한다는 이유외에도 철골기둥이 있어 벽체 변형이 그만큼
자유롭다.
주택공사 주택연구소 박광재 선임연구원은 "국내 아파트는 아직까지
대부분이 벽식구조여서 벽에 하중이 많이 실리지만 철골조를 택할 경우
평면구조의 전면적인 변화가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건축기술이 발달하면 가변형이나 선택형, 주문형벽체 아파트가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 고경봉 기자 kgb@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0월 18일자 ).
주거는 물론 문화생활 일까지 함께 하는 복합공간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당연히 아파트를 바라보는 수요자들의 시각도 달라지고 있다.
특징이 없는 아파트는 설 곳이 없다.
아파트가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바뀌고 있다.
획일적으로 지어진 아파트에 거주자들이 맞춰가며 살던 때는 지났다.
이젠 아파트가 거주자들의 입맛에 맞게 건립되는 시대다.
단적인 예가 선택형, 가변형아파트의 확산이다.
고객은 평면을 자신의 취향에 맞게 선택하거나 변형시킬 수 있다.
주택업체들은 시장의 주도권을 쥔 고객을 만족시키는 신상품 개발에 승부를
걸고 있다.
아파트 차별화 바람이 한층 거세질 수밖에 없다.
<> 선택형아파트 =같은 단지내 다양한 평면구조의 아파트를 건립해 여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아파트를 말한다.
수요자들은 동일한 평형이라도 가족수나 생활패턴 취미 등에 따라 가장
마음에 드는 평면을 고를 수 있다.
가족수가 많으면 방이 여러개인 평형을 선택하고 그 반대인 경우 거실이나
방의 면적이 넓은 곳을 택할 수 있다.
쌍용건설이 분양중인 경기도 용인 구성2차 쌍용아파트는 10가지 스타일을
선보이고 있다.
평면이 입주자의 생활방식이나 가족수 등에 따라 <>기본세대형
<>개인작업실형 <>응접실형 <>취미실형 <>개방거실형 등 5가지나 된다.
색상도 체리톤의 "엘레강스"와 흰색계열의 "네오모던" 등 두가지 스타일을
내놓았다.
벽산건설이 용인 수지읍 성복리에서 분양중인 "첼시빌II"도 6가지 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가족수가 많은 경우에 적합한 "패밀리타입" <>가족수가 적어 방이 적고
넓은 거실을 갖춘 "그랜드타입" <>가변형벽체를 둬 수시로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 "스페셜타입" 등이다.
<> 가변형아파트 =벽체를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는 아파트다.
가족구성원들이 분가 등을 통해 줄거나 늘었을 때 이에 맞는 공간구성이
가능하다는게 장점이다.
집안 분위기를 바꾸는데도 효과가 크다.
그러나 가변형아파트는 아직 국내에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건축방식이 까다롭기 때문이다.
벽체가 이동가능한 동시에 방음 방향 등 벽 고유의 기능도 유지해야 하는
점도 걸림돌이다.
그동안 가변형아파트를 많이 공급한 업체는 주택공사와 SK건설이다.
SK건설은 지난 96년 서울 마포구 당산동에 건립한 시티빌을 칸막이벽체를
사용해 구조를 바꿀 수 있도록 설계했다.
레일식으로 돼있어 필요에 따라 넣고 뺄 수도 있다.
현관 욕실 부엌을 제외한 공간에 설치할 경우 방을 분리하거나 합치는게
가능하다.
주택공사가 경기도 고양 능곡에 건설한 주공아파트는 수납형 벽체로
구성됐다.
바닥과 천장에 꼭 맞는 가구를 사용하고 2가지 가구유형을 제시해 수요자들
이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 주문형아파트 =평면이나 색상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삼성중공업은 서울 구의동 등지에서 주상복합 아파트 "쉐르빌"을 공급하면서
"맞춤시공"을 도입했다.
입주자가 원하는 대로 내부공간과 인테리어를 만들어주는 방식이다.
입주자가 컴퓨터를 통해 다양한 평면을 미리 설계해보고 마음에 드는 것을
주문하면 된다.
SK건설도 "맞춤아파트"를 선보이고 있다.
아파트 분양과정에서 수요자와 상담을 통해 평면구조 색상 인테리어 등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수요자들이 인터넷을 통한 가상 모델하우스를 방문해 의견을
제시하는 방식도 인기를 끌고 있다.
<> 전망 =아파트는 일반주택과 달리 건물의 하중을 별로 받지 않는 비내력벽
이 많아 주문형이나 가변형 벽체사용이 늘어날 전망이다.
최근 철골조아파트가 고가에도 불구하고 각광받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건물이 장수한다는 이유외에도 철골기둥이 있어 벽체 변형이 그만큼
자유롭다.
주택공사 주택연구소 박광재 선임연구원은 "국내 아파트는 아직까지
대부분이 벽식구조여서 벽에 하중이 많이 실리지만 철골조를 택할 경우
평면구조의 전면적인 변화가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건축기술이 발달하면 가변형이나 선택형, 주문형벽체 아파트가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 고경봉 기자 kgb@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0월 1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