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기업이 경영 후진성 못면하는 이유 ]

한국경제신문과 KEMBA가 공동 기획하고있는 경영 MBA스쿨 5회에서는 문휘창
서울대 교수가 분석한 "우리기업경영이 후진성을 면치 못하는 이유"를
싣는다.

문 교수는 제도나 환경이 근본적으로 변하지 않는한 다양한 전략이나 기법을
도입해도 큰 효과를 거두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80년대초 미국 캘리포니아 고속도로를 자동차를 몰고 가다 흥미있는 표지판
을 봤다.

"쓰레기를 버리면 벌금 5백달러"

벌금이 이렇게 비싸니 고속도로가 깨끗하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몇 년후 다시 캘리포니아를 여행하다가 벌금이 5백달러에서 1천달러로
늘어난 것을 발견했다.

벌금이 5백달러인데도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이 있으니까 1천달러로 늘렸단
말인가.

선진 사고방식은 이처럼 제도를 통해 정착되는 것이라는 점을 새삼 느낄 수
있었다.

그렇다면 선진 사고방식이란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이는 한 마디로 불확실성을 회피하려는 태도 또는 노력을 말한다.

불확실성에는 현재의 불확실성과 미래의 불확실성이 있는데 이에 따라
소극적 모델과 적극적 모델로 구분할 수 있다.

인간의 행위에는 여러가지 불확실한 면이 있다.

나와 함께 동업을 하는 사람이 나를 속일 수도 있고 또 옆에 지나가는
사람이 나를 해칠 수 있다.

이런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해 계약서를 작성하고 관련 법률 등을 만드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이 규칙과 법규가 많고 변호사 또한 많은 것은 그만큼
불확실성을 제거하려는 노력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은 흔히 매우 자유로운 국가로 인식되고 있으나 사실은 남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엄격한 규범 아래서 자유가 보장될 뿐이다.

불확실성을 회피하려는 노력이 제품 생산활동에 적용될 때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생산활동에서 불확실성이 많다는 것은 원자재를 효율적으로 쓰지 못하고
생산 공정중 불필요한 과정이 많이 있어 결과적으로 불량품을 만들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무결점 운동 등 경영학의 많은 혁신 기법은 이러한 불확실성을 제거함으로써
불량품을 줄이고 제조원가를 낮추는 것으로 일본식 경영의 기초를 제공했다.

그런데 이런 일본식 경영의 핵심은 주로 현재의 불확실성을 회피하려는
노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소극적 모델에 해당된다.

때문에 미래의 불확실성을 회피하려는 적극적 모델과 구별된다.

적극적 모델의 좋은 예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창업자인 빌 게이츠를 들 수
있다.

하버드 대학을 다니던 빌 게이츠는 학교를 그만두고 75년 마이크로소프트사
를 창업했다.

그 당시에는 누가 봐도 하버드 대학을 졸업하는 것이 더욱 확실할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러나 빌 게이츠 자신은 컴퓨터와 관련된 일을 하는 것이 더욱 확실한
미래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은 현실에서의 위험감수
보다 미래의 위험 회피를 의미하는 것이다.

흔히 미국은 새로운 제품 또는 기술을 먼저 만들고 일본은 이미 만들어진
제품 또는 기술의 기능을 더욱 발전시키는 데 비교우위가 있다고 말한다.

미국은 적극적 모델과, 일본은 소극적 모델과 관련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점은 적극적 모델은 소극적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는
것이다.

현실에서 정확하게 일을 하지 않으면 창조적 활동은 그 기반이 매우 약해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우리는 흔히 국제경쟁력을 갖춘 세계적인 기업 또는 새로운 기술을 요구한다

빅딜을 통한 구조조정이나 단순한 경영전략의 변화만으로 이것이 가능한가.

다양한 경영 기법이 우리나라에 소개됐는데 왜 아직도 우리 경영은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가.

선진 사고방식이 전제되지 않으면 백약이 무효하다.

선진적 사고 방식은 선천적으로 타고 나는게 아니라 제도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우리 민족을 교통질서를 안 지키는 얌체족으로 매도할 것이 아니라 선진의식
을 갖고 그렇게 행동하도록 하는 제도적인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문휘창 < 서울대 교수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0월 2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