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자동차를 해외에 매각하는 대신 삼성등 국내 업계가 인수, 경영하는게
바람직하다는 견해가 정치권에 확산되고 있다.

정부의 대우자동차 해외 매각 방침은 금융시장의 불안을 방지하기 위한
미봉책에 불과하며 국내 자동차 산업과 협력업체의 장래를 무시한 처사라는
게 그 주된 이유다.

자민련 이상현 의원은 28일 "그동안 정부가 추진해온 대우 및 삼성자동차
처리 과정을 보면 국가장래의 기틀이 되는 산업육성책을 거의 무시한 채
금융시장 불안 방지만을 중요시한 근시적인 처방"이라며 비난했다.

자동차산업은 국내제조업의 10.2%, 취업자의 8.2%, 총수출의 7.5%를 차지
하는 국가의 중추산업.

그러나 GM이 대우차를 인수할 경우 현대자동차의 내수시장 점유율 하락이
불가피하고 이에 따른 국내 자동차 산업과 부품 산업의 침체도 불보듯
뻔하다는게 그의 주장이다.

이 의원은 지난 60년대 영국의 자동차 산업은 세계1위였으나 경영권이
외국으로 넘어간 이후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며 실례를 들었다.

반면 미국의 크라이슬러, 프랑스 르노, 일본 마쓰다의 경우 기업이 위기에
직면했을때 정부가 적극 나서 지원한 결과 세계적인 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따라서 대우자동차에 대한 외국기업의 자본참여를 허용 하더라도
국내 제3의 기업이 경영권을 유지하면서 회생시키는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국민회의 김경재 의원도 지난 국정감사에서 대우자동차를 처리하는 방법
가운데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 삼성의 "역빅딜"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최근 삼성은 반도체 호황의 재미를 톡톡히 보고 있기 때문에
대우자동차를 인수할 충분한 여력이 있다"면서 "금융시장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삼성차가 대우차를 인수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 김형배 기자 khb@ 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0월 2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