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I면톱] 기업 산업기밀 보안 '구멍'..43%이상 정보유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기업들은 산업스파이 활동을 가장 활발하게 전개하는 곳으로 국내에
진출한 외국 합작기업을 꼽았다.
또 산업스파이들이 산업기밀을 얻기 위해 자주 쓰는 방법은 관련 인력
스카우트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는 2일 발표한 "기업의 산업 보안의식 조사"란 자료에서 사내
기밀이 외부로 빠져나가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다는 응답이 조사대상
기업의 43.8%에 달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는 국내 기업과 연구소의 임직원 1천40명을 대상으로 국가정보원
협조 아래 실시됐다.
조사 결과 산업스파이가 표적으로 삼는 정보는 제조기술이란 응답이
71.0%로 가장 많았고 사업계획정보(12.5%)판매.시장정보(8.6%)의 순이었다.
산업스파이들이 산업기밀을 획득하기 위해 가장 빈번하게 쓰는 수법은
스카우트(42.8%)였고 매수(17.1%) 복사(13.3%) 팩스.E메일 도청(11.5%) 등도
사용되고 있었다.
산업스파이 활동이 가장 활발한 기업으로는 조사대상의 45.7%가 국내에
진출한 외국합작기업을 꼽았고 34.4%는 국내기업, 14.0%는 국내에 진출한
외국기업을 지목했다.
국내 기업들이 산업기밀 보안관리상 가장 취약하다고 느끼는 분야는
설계도면 등 문서보안 분야(31.1%)였다.
그 다음으로 연구원 등 사내 인적자원 보안분야(27.4%), 전산망 등
정보통신 분야(25.4%)가 꼽혔다.
특히 사내 인전자원 보안분야의 취약성은 지난 96년 조사때보다 7.4%
늘어났다.
이는 지난해 경제위기 이후 구조조정 여파로 연구원이 대량 감원되면서
정보유출이 심화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기업들은 산업기밀 보안때 가장 많이 겪는 어려움으로 "임직원들의 보안에
대한 관심 부족(32.8%)"을 지적했다.
"부당 스카우트 예방을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가 미흡하다"(28.2%)거나
"보안예산 자체가 부족하다"(20.0%)는 답변도 많았다.
이에따라 응답자들은 기업체 보안관리 역량을 높이기 위한 지도활동,
산업스파이 처벌을 위한 법률 제정,국내 산업계의 공정한 경쟁문화 정착 등
정부 차원에서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상의 관계자는 "경쟁업체나 외국기업에 넘어가서는 안될 기술이나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응답이 74.1%나 됐다"며 "앞으로는 R&D투자 못지않게 산업보안
투자도 과감히 확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박기호 기자 khpark@ 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1월 3일자 ).
진출한 외국 합작기업을 꼽았다.
또 산업스파이들이 산업기밀을 얻기 위해 자주 쓰는 방법은 관련 인력
스카우트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는 2일 발표한 "기업의 산업 보안의식 조사"란 자료에서 사내
기밀이 외부로 빠져나가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다는 응답이 조사대상
기업의 43.8%에 달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는 국내 기업과 연구소의 임직원 1천40명을 대상으로 국가정보원
협조 아래 실시됐다.
조사 결과 산업스파이가 표적으로 삼는 정보는 제조기술이란 응답이
71.0%로 가장 많았고 사업계획정보(12.5%)판매.시장정보(8.6%)의 순이었다.
산업스파이들이 산업기밀을 획득하기 위해 가장 빈번하게 쓰는 수법은
스카우트(42.8%)였고 매수(17.1%) 복사(13.3%) 팩스.E메일 도청(11.5%) 등도
사용되고 있었다.
산업스파이 활동이 가장 활발한 기업으로는 조사대상의 45.7%가 국내에
진출한 외국합작기업을 꼽았고 34.4%는 국내기업, 14.0%는 국내에 진출한
외국기업을 지목했다.
국내 기업들이 산업기밀 보안관리상 가장 취약하다고 느끼는 분야는
설계도면 등 문서보안 분야(31.1%)였다.
그 다음으로 연구원 등 사내 인적자원 보안분야(27.4%), 전산망 등
정보통신 분야(25.4%)가 꼽혔다.
특히 사내 인전자원 보안분야의 취약성은 지난 96년 조사때보다 7.4%
늘어났다.
이는 지난해 경제위기 이후 구조조정 여파로 연구원이 대량 감원되면서
정보유출이 심화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기업들은 산업기밀 보안때 가장 많이 겪는 어려움으로 "임직원들의 보안에
대한 관심 부족(32.8%)"을 지적했다.
"부당 스카우트 예방을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가 미흡하다"(28.2%)거나
"보안예산 자체가 부족하다"(20.0%)는 답변도 많았다.
이에따라 응답자들은 기업체 보안관리 역량을 높이기 위한 지도활동,
산업스파이 처벌을 위한 법률 제정,국내 산업계의 공정한 경쟁문화 정착 등
정부 차원에서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상의 관계자는 "경쟁업체나 외국기업에 넘어가서는 안될 기술이나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응답이 74.1%나 됐다"며 "앞으로는 R&D투자 못지않게 산업보안
투자도 과감히 확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박기호 기자 khpark@ 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1월 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