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를 배웁시다] (테마경제) '저축 왜 필요한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의 일부 인디언들은 고기를 잡을 때 꼭 필요한 수만큼만 잡는다고 한다.
왜냐면 더 잡아봐야 먹을 수도 없고 버리게 되기 때문이다.
고기를 많이 잡아서 가구나 의복으로 교환한다거나 팔아 돈을 모으는 일은
생각조차 못하는 사회인 셈이다.
아마 그 사회는 저축이나 투자라는 행위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사는 사회는 인디언 사회와는 달리 현재의 소비 대신 미래에
쓰기 위해 저축을 한다.
저축은 개인의 입장에서 보면 재산형성 수단인 동시에 투자행위의 일종
으로서 미래의 안정된 생활을 보장해 주는 역할을 한다.
국가적으로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투자자금의 공급원으로서 경제성장의
밑바탕을 이룬다는 점에서 저축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같은 저축개념은 경제학의 시조라 할 수 있는 애덤 스미스로부터 비롯
됐다.
그는 "국부론"에서 국부란 그 나라가 얼마만큼 생산할 수 있느냐에 따라
좌우되며 생산능력은 생산에 필요한 요소, 즉 노동과 자본의 축적정도 및
이용가능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생산요소 가운데 자본의 축적은 투자에 의해 달성된다.
투자에 필요한 자금은 저축에 의해 뒷받침된다.
결국 저축은 자본을 축적하고 생산능력을 확충하는데 견인차 역할을 수행
하는 것이다.
이는 "저축은 미덕"이라는 우리가 갖고 있는 일반적 사고를 대변하는
것이기도 하다.
저축이 증가하면 투자가 확대돼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이는 다시 저축의
증가로 이어지는 경제의 선순환이 가능해진다.
스미스는 저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소비하는 자는 경제성장을 가로막는
공공의 적이라고 까지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경제학자들이 모두 여기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영국의 경제학자 케인스는 스미스와는 달리 과도한 저축은 경기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30년대 전세계를 휩쓸었던 대공황에 대해 처방전을 내릴 필요를 느꼈던
케인스는 저축의 역할을 투자의 재원으로 인식하기 보다는 소비를 감소
시키는 요인으로 생각했다.
저축이 늘어나면 자연히 소비가 줄어들 수 밖에 없고 이는 생산활동을
위측시키고, 이에따라 경기도 침체될 것으로 봤다.
케인스는 심지어 소비를 많이 하는 사람이 착실히 저축하는 사람보다
국가경제에 더 큰 기여를 하는 것이라고 논리를 펴기도 했다.
이는 바로 "소비가 미덕"이라는 주장의 배경을 이루게 된다.
저축이 좋으냐 소비가 좋으냐는 문제는 경제학적으로 더 따져 봐야할
사안이지만 한국적 현실에선 저축우선주의가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정부도 갖가지 저축유도책을 펴는게 현실이다.
그럴수 밖에 없는 이유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저축 증대는 경상수지 개선과 자립경제 구축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사실 지난 30여년간 연평균 8%를 웃도는 고도성장이 가능했던 것도 높은
저축률에 의해 뒷받침된 왕성한 투자활동이 있었기 때문이다.
국내 저축으로 투자재원을 충당하지 못할 경우에는 외국자본을 들여와야
한다.
이는 경상수지를 악화시킬 뿐아니라 외채부담을 가중시킨다.
외채급증이 어떤 결과를 낳았는지에 관해선 현재 피부로 체감하고 있기
때문에 두말할 필요가 없을 듯하다.
또 저축은 물가안정을 위해서도 긴요하다.
저축이 투자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투자에 필요한 부족재원을 확보
하기 위해 해외차입이나 중앙은행 통화증발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자금조달 방법은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이런 점에서 작년중 33.2%였던 국민총저축률이 상반기중 30.6%로 떨어졌다는
한국은행 발표(25일)는 우울한 뉴스임에 틀림없다.
< 이성태 기자 steel@ked.co.kr >
-----------------------------------------------------------------------
[ 용어설명 ]
<> 저축률 통계
저축률 통계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포괄적인 것이 총저축률이다.
이것은 국민경제 전체소득(국민총가처분소득)에서 소비를 뺀 나머지가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계산한 것이다.
따라서 총저축률은 개인이 얼마나 저축하는가를 보여 주지는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다.
총저축률이 30%대라고 해서 국민 개개인이 평균적으로 수입의 30%를 저축
했다고는 말할 수 없다.
총저축률은 저축부문별로 민간저축률과 정부저축률로 나뉘어지고 민간저축률
은 개인저축률과 기업저축률로 구분된다.
개인의 저축상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개인순저축률을 봐야 한다.
소비하고 남은 돈(순저축)이 개인의 소득(가처분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개인순저축률이다.
88년 23.4%에서 계속 낮아져 97년에는 14.8%로 떨어졌다.
그러나 개인순저축률이 순수하게 은행 등 금융기관에 넣어두는 예금만
따지는 것은 아니다.
주식 채권을 비롯한 귀금속 부동산 등에 대한 투자와 장롱속에 보관된
현금도 저축개념에 포함된다.
그러나 장롱속에 보관된 돈처럼 현금 그대로 보유된 부분은 퇴장(horarding)
이라 해서 저축과 구별하기도 한다.
한편 개인의 가처분소득중에서 얼마만큼 금융자산에 저축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는 개인금융저축률이 있다.
이는 개인부문의 가처분소득에서 금융저축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개인금융저축률은 작년말 현재 19%로 집계됐다.
< 이성태 기자 steel@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1월 4일자 ).
왜냐면 더 잡아봐야 먹을 수도 없고 버리게 되기 때문이다.
고기를 많이 잡아서 가구나 의복으로 교환한다거나 팔아 돈을 모으는 일은
생각조차 못하는 사회인 셈이다.
아마 그 사회는 저축이나 투자라는 행위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사는 사회는 인디언 사회와는 달리 현재의 소비 대신 미래에
쓰기 위해 저축을 한다.
저축은 개인의 입장에서 보면 재산형성 수단인 동시에 투자행위의 일종
으로서 미래의 안정된 생활을 보장해 주는 역할을 한다.
국가적으로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투자자금의 공급원으로서 경제성장의
밑바탕을 이룬다는 점에서 저축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같은 저축개념은 경제학의 시조라 할 수 있는 애덤 스미스로부터 비롯
됐다.
그는 "국부론"에서 국부란 그 나라가 얼마만큼 생산할 수 있느냐에 따라
좌우되며 생산능력은 생산에 필요한 요소, 즉 노동과 자본의 축적정도 및
이용가능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생산요소 가운데 자본의 축적은 투자에 의해 달성된다.
투자에 필요한 자금은 저축에 의해 뒷받침된다.
결국 저축은 자본을 축적하고 생산능력을 확충하는데 견인차 역할을 수행
하는 것이다.
이는 "저축은 미덕"이라는 우리가 갖고 있는 일반적 사고를 대변하는
것이기도 하다.
저축이 증가하면 투자가 확대돼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이는 다시 저축의
증가로 이어지는 경제의 선순환이 가능해진다.
스미스는 저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소비하는 자는 경제성장을 가로막는
공공의 적이라고 까지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경제학자들이 모두 여기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영국의 경제학자 케인스는 스미스와는 달리 과도한 저축은 경기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30년대 전세계를 휩쓸었던 대공황에 대해 처방전을 내릴 필요를 느꼈던
케인스는 저축의 역할을 투자의 재원으로 인식하기 보다는 소비를 감소
시키는 요인으로 생각했다.
저축이 늘어나면 자연히 소비가 줄어들 수 밖에 없고 이는 생산활동을
위측시키고, 이에따라 경기도 침체될 것으로 봤다.
케인스는 심지어 소비를 많이 하는 사람이 착실히 저축하는 사람보다
국가경제에 더 큰 기여를 하는 것이라고 논리를 펴기도 했다.
이는 바로 "소비가 미덕"이라는 주장의 배경을 이루게 된다.
저축이 좋으냐 소비가 좋으냐는 문제는 경제학적으로 더 따져 봐야할
사안이지만 한국적 현실에선 저축우선주의가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정부도 갖가지 저축유도책을 펴는게 현실이다.
그럴수 밖에 없는 이유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저축 증대는 경상수지 개선과 자립경제 구축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사실 지난 30여년간 연평균 8%를 웃도는 고도성장이 가능했던 것도 높은
저축률에 의해 뒷받침된 왕성한 투자활동이 있었기 때문이다.
국내 저축으로 투자재원을 충당하지 못할 경우에는 외국자본을 들여와야
한다.
이는 경상수지를 악화시킬 뿐아니라 외채부담을 가중시킨다.
외채급증이 어떤 결과를 낳았는지에 관해선 현재 피부로 체감하고 있기
때문에 두말할 필요가 없을 듯하다.
또 저축은 물가안정을 위해서도 긴요하다.
저축이 투자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투자에 필요한 부족재원을 확보
하기 위해 해외차입이나 중앙은행 통화증발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자금조달 방법은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이런 점에서 작년중 33.2%였던 국민총저축률이 상반기중 30.6%로 떨어졌다는
한국은행 발표(25일)는 우울한 뉴스임에 틀림없다.
< 이성태 기자 steel@ked.co.kr >
-----------------------------------------------------------------------
[ 용어설명 ]
<> 저축률 통계
저축률 통계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포괄적인 것이 총저축률이다.
이것은 국민경제 전체소득(국민총가처분소득)에서 소비를 뺀 나머지가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계산한 것이다.
따라서 총저축률은 개인이 얼마나 저축하는가를 보여 주지는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다.
총저축률이 30%대라고 해서 국민 개개인이 평균적으로 수입의 30%를 저축
했다고는 말할 수 없다.
총저축률은 저축부문별로 민간저축률과 정부저축률로 나뉘어지고 민간저축률
은 개인저축률과 기업저축률로 구분된다.
개인의 저축상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개인순저축률을 봐야 한다.
소비하고 남은 돈(순저축)이 개인의 소득(가처분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개인순저축률이다.
88년 23.4%에서 계속 낮아져 97년에는 14.8%로 떨어졌다.
그러나 개인순저축률이 순수하게 은행 등 금융기관에 넣어두는 예금만
따지는 것은 아니다.
주식 채권을 비롯한 귀금속 부동산 등에 대한 투자와 장롱속에 보관된
현금도 저축개념에 포함된다.
그러나 장롱속에 보관된 돈처럼 현금 그대로 보유된 부분은 퇴장(horarding)
이라 해서 저축과 구별하기도 한다.
한편 개인의 가처분소득중에서 얼마만큼 금융자산에 저축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는 개인금융저축률이 있다.
이는 개인부문의 가처분소득에서 금융저축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개인금융저축률은 작년말 현재 19%로 집계됐다.
< 이성태 기자 steel@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1월 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