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예산처는 2001년초 문을 여는 인천국제공항 청사에 상주할 세관 검역소
등 16개 정부기관에 대해서도 민간입주자와 마찬가지로 사무실 임대료를
지불토록 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대신 정부가 2001년 예산부터 해당기관에 임차료 소요분을 지원해 주기로
했다.

현재 김포공항 청사에 상주해 있는 세관과 출입국관리소 등은 사무실을
무료로 쓰고 있다.

예산처는 "정부기관에 원가 마인드를 도입하는 것은 물론 인천국제공항공사
의 자립경영 기반을 마련해 주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또 인천국제공항공사 민영화때 정부가 보유한 주식가치를 높여 매각수입을
극대화하겠다는 복안도 깔려 있다.

이에 앞서 인천국제공항에 입주 예정인 정부기관들은 여객터미널청사 및
합동청사에 8천6백44평을 할애해 줄 것을 공사측에 요청했다.

현재 김포공항에서 사용중인 면적의 1.7배에 달하는 크기다.

이들 정부기관이 내야 하는 임차료는 모두 1백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한편 정부는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자본금 1조6천7백68억원 전액을 출자
했으며 2002년까지 51% 이상의 지분을 매각해 경영권을 민간에 넘길 계획
이다.

< 유병연 기자 yooby@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1월 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