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 중앙수사부는 30일 국회 법사위가 연정희 배정숙 정일순씨를 청문회
위증혐의로 고발해 옴에 따라 "옷로비 의혹" 사건을 전면 재수사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로써 옷로비 사건은 청와대 사직동팀 내사, 서울지검 수사, 국회 청문회,
특별검사 수사에 이어 5번째 조사를 받게됐다.

검찰은 또 박시언 전신동아그룹 부회장이 언론에 공개한 청와대 사직동팀
보고서가 조작됐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이와함께 박씨가 그룹차원에서 조직적으로 최순영 전회장의 구명을 위해
금품 로비를 했는 지에 대한 수사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위증.보고서 유출 수사 =대검은 국회 법사위가 위증혐의로 고발한
연정희씨 등 3명에 대한 사건을 중수부(주임검사 박만 감찰1과장)에 배당,
30일부터 사실상 전면적인 재수사에 들어갔다.

검찰은 위증혐의가 드러나면 이들을 모두 사법처리할 방침이다.

"국회 증언.감정법(제14조)"에 따르면 위증죄는 징역 1년이상 10년 이하의
처벌을 받게 돼 있다.

대검 이와는 별도로 이날 사직동팀 내사결과 보고서를 공개한 박시언씨와
최 전회장의 비서실장 하병국씨를 소환해 조사했다.

검찰은 박씨를 상대로 사직동 보고서에서 "최순영회장 구속 건의" 부분을
빼고 언론에 공개한 이유를 집중적으로 캐물었다.

검찰은 또 그룹 비서실에 보고서를 전달한 이유와 다른 로비나 협박용으로
사용했는 지 여부를 조사했다.

이종왕 수사기획관은 이날 "박시언씨가 공개한 보고서에는 최 회장 구속을
건의한 마지막 조항이 빠져있다고 박주선 전청와대 법무비서관리 주장하고
있어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시언씨는 "당시 김 총장에게 받은 보고서에는 그같은 항목이
없었다"며 "김태정 전 검찰총장이 그 부분을 뺐든가 아니면 보고서가 사후에
조작됐을 것"이라고 말해 논란이 되고 있다.

한편 특검팀은 지난 1월 옷로비 의혹사건에 대한 내사를 담당한 최광식
경찰청 조사과장이 1일 자진출두하겠다고 알려옴에 따라 사직동 보고서
작성, 보고과정, 유출여부에 대해 조사키로 했다.

특검팀은 또 정일순씨가 지난1월 연정희씨의 부탁에 따라 연씨의 결백과
억울함을 호소하는 편지를 작성, 김태정 전 검찰총장에게 보냈다는 증거를
잡고 수사에 나섰다.

<>로비여부 수사 =검찰은 박씨가 최 회장 구명을 위해 정.관계에 뇌물을
뿌리며 로비를 펼쳤는 지 여부를 추적하고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지난달 보석으로 석방된 최 회장과 부인 이형자씨를
조만간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은 박씨가 지난 6월 박 전 비서관에게 최 회장의 구형량을 낮춰줄 것을
요구했고 지난해 6~7월에는 김태정 당시 검찰총장을 만나 검찰수사 유보방침
을 내려주도록 요청한 사실을 밝혀냈다.

한편 옷로비 특검팀은 이날 정씨와 이씨를 소환, 대질신문을 통해 옷값
대납 요구여부를 조사했다.

< 고기완 기자 dadad@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