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과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는 1일 여야간 "진솔한" 대화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특히 김 대통령은 이날 당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여야 영수회담에서
구체적인 사안을 논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새 천년을 맞이해 국가의 앞날을
어떻게 설계하느냐는 큰 틀의 논의가 진행되기를 바란다"고 말해 빠르면
내주중 총재회담이 열릴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에 호응해 여야 3당 총무들도 선거구제에 대한 본격적인 협상을 위해
3당3역회의를 가동키로 하고 그 첫 회의를 3일 열기로 합의했다.

이에따라 정개특위 시한연장 문제로 이틀간 파행해온 국회는 다시 정상화
됐다.

이날 국민회의 박상천, 자민련 이긍규, 한나라당 이부영 총무는 국회에서
두차례 총무회담을 열어 이같이 합의하고 활동시한 만료로 전날 해체된
정치개혁입법특위는 선거구제에 대한 여야 3역회의의 결과를 본후 재구성키로
했다.

또 총무회담은 정개특위가 재구성될 때까지 국회 행정자치위와 운영위에서
선거법 정당법 정치자금법과 국회관계법 등 정치개혁법안을 처리하지 않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와관련, 국민회의 박 총무는 "정개특위가 결국 시한을 넘긴 것은 선거구제
에 대한 여야간 견해차 때문인데 선거구제에 대한 여야 합의가 없으면 정개
특위가 재구성돼도 의미가 없어 3당3역회의를 열어 협의키로 했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이 총무도 "3당 3역회의는 여야가 선거구제에 대한 본격적인
협상에 들어간다는 의미"라 면서 "여야총재회담은 선거구제 문제가 일단락된
후에나 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김형배 기자 khb@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