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2년] 해외환란국 동향 : '인도네시아'..개혁 지지부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도네시아는 외환위기를 겪은 아시아국가중 경제회복이 가장 더디다.
지난해 마이너스 13.7%를 기록한 경제성장률은 올해도 마이너스 3.9%(WEFA
추정)로 후퇴를 계속할 전망이다.
내년에나 마이너스성장에서 탈출할 것으로 보인다.
퀵 키안 경제금융조정장관은 내년 경제성장률 목표를 2%로 잡고 있다고
최근 발표했다.
최근의 국제유가 상승은 경제회복에 큰 보탬이 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15위 산유국이다.
원유수출대금이 총 수출의 35% 및 총 정부 수입의 30%를 차지할 정도다.
지난해 저유가로 원유수출액이 줄고 재정적자가 크게 늘어난 것도 경기침체
가 유난히 심각했던 주요 이유였다.
인도네시아는 경제구조 개혁도 지지부진한 편이다.
외환위기 직후 IMF(국제통화기금)의 권고에 따라 16개 부실은행을 폐쇄한
것 말고는 한게 거의 없다.
다행히 위기 당시 달러당 1만5천루피아를 넘던 루피아가치는 8천루피아
안팎에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최근 루피아가 내년까지 현 수준의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도네시아의 경제개혁이 느린 가장 큰 이유는 정치불안이다.
외환위기 이후 식량부족과 물가앙등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면서 사회불안이
계속되고 있다.
장기집권했던 수하르토 대통령이 물러나고 그 후임자인 하비비 대통령마저
물러났지만 국민들의 불만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최근 대선에서 당선된 압둘라흐만 와히드 대통령이 과거정권의 지지를 받은
인물이어서 개혁정책을 펴는 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동티모르의 분리독립 승인에 이어 아체주까지 독립을 요구, 국가의 정체성
마저 흔들릴 지경에 처했다.
정치안정이 경제회복의 열쇠라는게 국제사회의 분석이다.
인도네시아는 97년 외환위기 직후에도 출발이 순조롭지 않았다.
IMF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조건으로 긴축과 경제제도 개선을 약속했지만
이를 번복했다.
흑자예산을 편성하고 고정환율제를 도입, IMF와 마찰을 빚었다.
그 뒤 국제사회의 지원이 중단되면서 물가폭등과 반정부 폭동이 이어졌다.
기업의 무더기 도산은 멈췄지만 여전히 실업자는 줄지 않고 있다.
전체 국민중 빈곤층의 비중도 외환위기전 11%(2천2백만명)에서 현재 40%
(8천만명) 수준으로 크게 늘었다.
한해 50% 가까이 치솟는 물가도 경제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
< 김용준 기자 dialect@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3일자 ).
지난해 마이너스 13.7%를 기록한 경제성장률은 올해도 마이너스 3.9%(WEFA
추정)로 후퇴를 계속할 전망이다.
내년에나 마이너스성장에서 탈출할 것으로 보인다.
퀵 키안 경제금융조정장관은 내년 경제성장률 목표를 2%로 잡고 있다고
최근 발표했다.
최근의 국제유가 상승은 경제회복에 큰 보탬이 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15위 산유국이다.
원유수출대금이 총 수출의 35% 및 총 정부 수입의 30%를 차지할 정도다.
지난해 저유가로 원유수출액이 줄고 재정적자가 크게 늘어난 것도 경기침체
가 유난히 심각했던 주요 이유였다.
인도네시아는 경제구조 개혁도 지지부진한 편이다.
외환위기 직후 IMF(국제통화기금)의 권고에 따라 16개 부실은행을 폐쇄한
것 말고는 한게 거의 없다.
다행히 위기 당시 달러당 1만5천루피아를 넘던 루피아가치는 8천루피아
안팎에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최근 루피아가 내년까지 현 수준의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도네시아의 경제개혁이 느린 가장 큰 이유는 정치불안이다.
외환위기 이후 식량부족과 물가앙등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면서 사회불안이
계속되고 있다.
장기집권했던 수하르토 대통령이 물러나고 그 후임자인 하비비 대통령마저
물러났지만 국민들의 불만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최근 대선에서 당선된 압둘라흐만 와히드 대통령이 과거정권의 지지를 받은
인물이어서 개혁정책을 펴는 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동티모르의 분리독립 승인에 이어 아체주까지 독립을 요구, 국가의 정체성
마저 흔들릴 지경에 처했다.
정치안정이 경제회복의 열쇠라는게 국제사회의 분석이다.
인도네시아는 97년 외환위기 직후에도 출발이 순조롭지 않았다.
IMF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조건으로 긴축과 경제제도 개선을 약속했지만
이를 번복했다.
흑자예산을 편성하고 고정환율제를 도입, IMF와 마찰을 빚었다.
그 뒤 국제사회의 지원이 중단되면서 물가폭등과 반정부 폭동이 이어졌다.
기업의 무더기 도산은 멈췄지만 여전히 실업자는 줄지 않고 있다.
전체 국민중 빈곤층의 비중도 외환위기전 11%(2천2백만명)에서 현재 40%
(8천만명) 수준으로 크게 늘었다.
한해 50% 가까이 치솟는 물가도 경제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
< 김용준 기자 dialect@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