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체제 2년간 한국경제에는 일대 지각변동이 일어났다.

금융계와 산업계에 구조조정의 회오리가 일어 수많은 금융기관과 기업들이
정리됐다.

살아남은 기업들간에도 빅딜이 추진돼 산업계의 판도가 뒤바뀌었다.

그 소용돌이로 대규모 실업사태가 벌어졌고 이는 빈부격차 확대로
이어졌다.

상전벽해와도 같았던 지난 2년간의 변화를 5대 사건으로 정리해 되돌아본다.

------------------------------------------------------------------------

외환위기는 그동안 감추어졌던 금융기관들의 부실을 드러냈다.

부실채권이 무려 1백20조원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정부는 64조원의 공적자금을 조성, 대대적인 금융기관 구조조정에
착수했다.

그간의 구조조정을 통해 10개 은행을 비롯, 종금사 19개, 리스사 5개,
증권사 6개, 보험사 5개, 투신사 76개, 상호신용금고 43개, 신용협동조합
2백11개 등 모두 3백75개 금융기관이 통폐합됐다.

또 제일은행은 7조원에 이르는 공적자금이 투입된 끝에 어렵사리 미국의
뉴브리지 캐피털에 매각됐다.

서울은행은 공적자금 투입과 함께 해외에서 전문경영진 영입을 추진중이다.

이같은 구조조정의 결과로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10%대로 높아지는 등 금융기관들의 재무건전도가 정상화됐다.

자산규모에 따른 은행서열이 IMF사태 이전의 외환 조흥 한일 제일 국민
상업은행 순서에서 국민 한빛 주택 외환 하나 조흥은행의 순으로 바뀌는 판도
변화도 일어났다.

그러나 공적자금 투입의 결과 상당수의 금융기관들이 사실상 국유화됨으써
관치금융에 대한 우려도 낳았다.

특히 최근에는 대우사태로 인해 금융계에 2차 구조조정의 태풍도 예상되고
있다.

영국의 이코노미스트지는 "한국의 관치금융체제는 여전하며 대우처리과정과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을 늘리는 과정에서 은행들이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따라 당초 금융 구조조정을 위해 조성한 64조원의 공적자금이 조만간
바닥나 추가조성도 필요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