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체제 2년간 한국경제에는 일대 지각변동이 일어났다.

금융계와 산업계에 구조조정의 회오리가 일어 수많은 금융기관과 기업들이
정리됐다.

살아남은 기업들간에도 빅딜이 추진돼 산업계의 판도가 뒤바뀌었다.

그 소용돌이로 대규모 실업사태가 벌어졌고 이는 빈부격차 확대로
이어졌다.

상전벽해와도 같았던 지난 2년간의 변화를 5대 사건으로 정리해 되돌아본다.

------------------------------------------------------------------------

작년 1월13일 김대중 당시 대통령 당선자와 재계 총수들은 기업구조조정 5대
원칙에 합의했다.

5대원칙의 내용은 <>경영투명성 제고 <>재무구조 개선 <>지배주주 및 경영진
책임강화 <>핵심기업 설정 <>상호채무보증 해소 등이었다.

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된 것은 지난해 6월18일 독자적인 생존가능성이 없는
55개 기업이 퇴출되면서부터였다.

뒤이어 "워크아웃(workout.기업개선작업)"이라는 생소한 용어가 등장했다.

자금난으로 부도위기에 빠진 기업중 생존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골라 부채의
출자전환 등으로 재무구조를 개선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5대 이하 그룹 계열사와 중견기업들이 주대상이 됐다.

동아건설, 고합, 거평, 쌍용건설 등 16개 계열 38개 대기업 등 모두 72개
기업이 워크아웃에 들어갔다.

5대 그룹에 대해서는 작년 12월7일 정.재계 간담회를 개최, 구조조정 방안을
확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채권단과 5대 그룹이 이미 맺은 재무구조개선약정을
수정체결했다.

여기엔 삼성자동차와 대우전자를 포함, 석유화학 항공기 철도차량 정유 등
8개 업종의 사업교환계획(빅딜)이 포함됐다.

5대 그룹의 구조조정은 올 8월15일 김대중 대통령의 광복절 축사를 계기로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단순한 재무구조개선이나 사업구조조정을 벗어나 "재벌개혁"으로 방향을
튼 것이다.

기업구조조정 5대원칙도 순환출자 억제, 내부거래 억제, 편법상속.증여 차단
등이 더해져 재벌개혁 5+3원칙으로 강화됐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