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체제 2년간 한국경제에는 일대 지각변동이 일어났다.

금융계와 산업계에 구조조정의 회오리가 일어 수많은 금융기관과 기업들이
정리됐다.

살아남은 기업들간에도 빅딜이 추진돼 산업계의 판도가 뒤바뀌었다.

그 소용돌이로 대규모 실업사태가 벌어졌고 이는 빈부격차 확대로
이어졌다.

상전벽해와도 같았던 지난 2년간의 변화를 5대 사건으로 정리해 되돌아본다.

------------------------------------------------------------------------

금융기관과 기업의 구조조정은 필연적으로 실업사태를 불렀다.

외환위기 이전 40만명 안팎이던 실업자수는 순식간에 1백80만명선까지
불어났다.

거리에는 갈 곳을 잃은 실업자와 노숙자가 넘쳐났다.

반면 극소수의 자산가들에게는 IMF체제가 기회였다.

고금리기에는 채권에, 저금리기에는 주식에 투자하며 막대한 금융소득을
올렸다.

그 결과 빈부격차는 급격히 확대됐다.

"2대 8의 사회"라는 용어도 등장했다.

중산층은 없이 20%의 상류층과 80%의 저소득층만이 존재한다는 뜻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한국의 중산층 가구비중은 97년 52.3%에서
지난해 45.8%로 추락했다.

반면 저소득층 가구비중은 38.7%에서 47%로 급증했다.

빈부격차를 나타내는 소득불평등도는 지난 85년 수준으로 뒷걸음쳤다.

전체 국민소득중 중산층이 차지하는 소득비중도 97년 35.8%에서 지난해
34.6%로 줄었다.

반면 고속득층 소득비중은 지난해 절반을 웃도는 52.1%를 차지해 전년보다
2.4%포인트 이상 불어났다.

이에 따라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도 97년 0.2831에서 지난해엔
0.3092로 악화됐다.

다행히 올들어 경기가 회복되면서 실업사태는 진정되고 있다.

하지만 고용이 늘었다고는 해도 임시직이 상용직을 웃도는 등 질적 구조는
IMF체제 이전보다 크게 불안정해졌다.

특히 경제성장의 고용흡수력이 낮아져 추가적인 실업률하락 속도는 점차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