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재산권을 갖기 위해서는 치밀한 전략을 세워야 한다.

출원하기 전 연구개발 단계에서 제대로 방향을 잡지 못하면 공들인
특허기술이 물거품처럼 날아갈 수 있다.

무엇보다 우물안 개구리식의 기술개발은 피해야 한다.

자신의 아이디어와 개발력만 믿고 남의 기술을 살펴보지 않으면 대부분
쓸모없거나 중복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내부정보와 인력이 모자라는 중소.벤처기업은 다른 기업과 해외의
기술 흐름을 먼저 들여다보고 개발방향을 결정해야 한다.

한번의 실패가 기업 생존까지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신문 특허청 대한상의 등 3개 기관은 "중소기업 지식재산권 갖기
운동"의 일환으로 연구개발 단계에서부터 체계적인 지원활동을 펼치고 있다.

우선 이달초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전국 30여개 도시에서 대대적인
순회설명회를 열고 있다.

설명회에서는 해당지역 중소기업에 지재권 제도와 특허기술사업화지원
정보활용방안 등을 알려준다.

또 한국발명진흥회 대한변리사회 등과 함께 헬프데스크를 설치, 기업
현장의 애로사항과 출원절차에 대한 무료상담을 해준다.

정부의 정책자금 지원설명회도 곁들여진다.

또 해당 지역내 중소기업과 심사관 간에 자매결연도 맺을 예정이다.

<>산업재산권 진단사업 =중복개발을 피하려면 연구개발이나 기술도입
이전에 특허전문 진단기관으로부터 미리 관련기술에 대한 종합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특허청은 지난 95년부터 산업재산권 진단사업을 벌이고 있다.

매년 4~5월에 신청자를 접수, 소요비용의 50%(최대 1천5백만원)까지
보조해준다.

주요 내용은 관련기술에 대한 국내외 선행기술조사, 해외기술 정보수집,
특허지도 작성, 핵심기술 실태분석, 시장 및 기술동향 분석, 경쟁기업
실태분석 및 연구개발 방향컨설팅, 특허분쟁에 대한 사전대응책 수립 등이다.

한국발명진흥회(02-557-1077~8)에서 사업을 맡고 있다.

<>연구개발의 길라잡이 특허지도(Patent Map) =세계적으로 해마다 1백만건
이상의 특허가 쏟아지고 있다.

이중엔 연구개발의 실마리를 풀어주는 유용한 기술이 많지만 쓸모없는
정보도 적지 않다.

그렇다고 중소기업이 모든 정보를 모두 살려볼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때 긴요한 것이 특허지도이다.

특허지도는 주요 기술분야별로 연구개발 현황과 기술동향을 한눈에
보여주는 특허기술의 나침반이다.

최근엔 기술의 발전방향은 물론 제품정보 시장흐름 기술이전 등 비특허정보
를 담은 특허지도도 등장하고 있다.

특허청(042-481-5888)은 내년에 25억원을 들여 첨단기술 성장유망기술
중소.벤처기술 등을 중심으로 분야별 특허지도를 제작한다.

특허지도는 중소기업에 무료로 배포되며 산.학.연 연구개발의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예정이다.

<>인터넷 특허정보 무료서비스 =내년부터 특허기술정보센터(02-3452-8144)
의 특허기술정보서비스(KIPRIS,www.kipris.or.kr)가 전면 무료화된다.

중소기업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매년 국내 20만건, 해외 1백80만건 등
모두 2백만건에 달하는 방대한 특허정보를 무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중소기업은 기술개발 단계에서 국내외 최신 기술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중복투자의 위험성을 크게 줄이고 신기술 개발을 촉진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심사관-중소기업 자매결연 =특허청(042-481-5886)은 이달부터 특허.실용
신안 심사관이 1개 이상의 중소기업과 자매결연을 맺고 기술후견인
(특허홈닥터) 역할을 맡게 한다.

심사관은 해당 기업의 지재권 창출과 활용에 대한 자문을 해주며 연구개발
방향도 제시해준다.

또 필요한 특허기술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권리화와 사업화 절차도
안내해준다.

지금까지 특허나 실용신안을 출원한 적이 없는 중소기업을 골라 자매결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정한영 기자 chy@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2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