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은 21일 "금융기관이 바로 서야 경제가 바로 선다"면서
"정치인 등 외부인사가 은행대출을 청탁하는 일은 없어져야 한다"고 강조
했다.

김 대통령은 또 "재벌기업의 오너가 경영에 참여하는 것을 뭐라고 할 생각은
없다"면서 "경쟁력 있는 기업을 만들려면 참여해야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기업이 불행하고 나라도 불행"이라고 말했다.

김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기업 금융개혁관련 인사 격려오찬"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대통령은 "(우리 은행들이) 세계 금융기관들과의 경쟁에서 당당하게
이겨 내기 위해서는 은행의 대출 등에 일절 간섭을 해선 안된다"면서 "은행
이 원칙에 따라 융자를 해주고 일체의 외부압력을 거절해야 한다"고 강조
했다.

김 대통령은 대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관련, "대기업이 계열사를 몇개 갖고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경쟁력 있는 기업을 몇개나 갖고 있느냐가
관건"이라는 소신을 밝혔다.

김 대통령은 최근 현안이 되고 있는 노동문제를 풀어갈 때 <>기업경쟁력을
우선하고 <>모든 노사관계는 합법적 평화적으로 하며 <>노사가 다같이
이익이 되는 방향이어야 한다는 "노사갈등 해결 3원칙"을 제시했다.

경영의 투명성에 대해서 김 대통령은 "비자금도 만들 필요가 없고 정치자금
을 줄 필요도 없다"면서 "돈이 남으면 노동자에게 보너스로 주라"고 말했다.

최근 현대 등 국내 기업들이 도입키로 한 스톡옵션은 잘한 일이라고 김
대통령은 치하했다.

김 대통령은 이어 "국제통화기금 체제가 끝났다고 개혁이 소홀해져선
안된다"고 강조하고 "세계화 시대에 기업이 생존하려면 철저한 개혁이 계속
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날 기업 금융개혁관련 인사 간담회에는 기업구조조정관련 인사 69명과
금융개혁관련 인사 32명 등 1백1명이 참석했다.

< 김영근 기자 ygkim@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2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