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엄 키워드] '이모티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Emoticon.
감정(emotion)과 아이콘(icon)의 합성어.
컴퓨터 키보드의 문자와 숫자, 특수기호 등을 조합해 만들어낸 사이버공간의
언어를 뜻한다.
이모티콘은 사람의 얼굴 표정에서부터 긴 문장까지 간단히 표현해 낸다.
네티즌들끼리만 통하는 일종의 은어 (jargon) 로 해외 젊은이들 사이에서
쓰이기 시작했다.
:)는 웃는 얼굴, :<는 반대로 우울한 얼굴, *.^는 윙크하는 얼굴을 의미하는
것 등이 대표적인 예다.
b/cuz(because), cya(See ya. 또 봅시다), brb(Be right back. 곧 돌아올
게요)등 문장을 알파벳 몇자로 축약한 경우도 많다.
국내도 예외는 아니어서 줄임말이나 철자법을 무시하고 소리나는 대로
표시하는 네티즌들이 늘어나고 있다.
기성세대들은 이모티콘 때문에 기존의 언어양식이 파괴되고 있다며
우려하기도 한다.
이모티콘은 번거로운 형식 대신 스피드를 지향하는 N세대들의 성향을
상징한다.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5일자 ).
감정(emotion)과 아이콘(icon)의 합성어.
컴퓨터 키보드의 문자와 숫자, 특수기호 등을 조합해 만들어낸 사이버공간의
언어를 뜻한다.
이모티콘은 사람의 얼굴 표정에서부터 긴 문장까지 간단히 표현해 낸다.
네티즌들끼리만 통하는 일종의 은어 (jargon) 로 해외 젊은이들 사이에서
쓰이기 시작했다.
:)는 웃는 얼굴, :<는 반대로 우울한 얼굴, *.^는 윙크하는 얼굴을 의미하는
것 등이 대표적인 예다.
b/cuz(because), cya(See ya. 또 봅시다), brb(Be right back. 곧 돌아올
게요)등 문장을 알파벳 몇자로 축약한 경우도 많다.
국내도 예외는 아니어서 줄임말이나 철자법을 무시하고 소리나는 대로
표시하는 네티즌들이 늘어나고 있다.
기성세대들은 이모티콘 때문에 기존의 언어양식이 파괴되고 있다며
우려하기도 한다.
이모티콘은 번거로운 형식 대신 스피드를 지향하는 N세대들의 성향을
상징한다.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