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가등락률이 미국 증시에 비해 최고 14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주가 등락에 지나치게 과민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대우경제연구소는 9일 "세계증시의 동조화현상과 한국주가의 과잉반응"
이라는 보고서에서 99년중 6번의 상승 및 하락국면에서 미국의 다우지수와
국내 종합주가지수의 흐름을 비교한 결과 "미국주가 전환점과 국내주가
전환점이 거의 일치했지만 종합주가지수 등락률은 미국 다우지수보다 최대
13.8배, 평균 4.3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이 보고서는 지난해 하락국면이었던 1월1일부터 2월9일까지 미국 다우지수
는 0.5% 하락했으나 종합주가지수는 이보다 13.8배나 큰 6.9%나 급락했다.

또 상승국면이었던 5월27일부터 7월7일까지 다우지수는 6.9% 상승하는데
그쳤으나 종합주가지수는 5.6배나 높은 38.4%나 폭등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같은 동조화현상은 자본시장개방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시장간의
수익률차가 나타날 때 자본이 즉각적으로 이동되는데다 국제 주식투자자금의
이동이 자본 시장간 포트폴리오 구성의 변화로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미국증시와 국내증시의 동조화는 99년 이후 점차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면서 "이는 외환위기 이후 자금의 부동화현상이 심해지면서
우리나라 주식시장이 지나치게 투기적인 성향을 띄고 있다"고 분석했다.

< 김태철 기자 synergy@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1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