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화는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Digital or Die)"

삼성경제연구소는 19일 "디지털 혁명의 충격과 대응"이란 자료를 통해
"디지털 혁명에의 대응이 국가와 기업의 명운을 좌우한다"며 디지털시대를
선도할 핵심인력과 벤처기업을 양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소는 "미국은 80년대 한때 일본에게 뒤졌으나 경제의 디지털화에
성공해 경쟁력을 회복, 장기호황을 구가하고 있는 반면 디지털혁명에 소극적
으로 대처한 일본과 유럽은 위기감을 느끼는 중"이라고 말했다.

또 "브리태니커는 백과사전에서 2백년이상 선도기업이었으나 1992년
마이크로 소프트의 엔카르타 백과사전(CD-ROM)에게 선두를 뺏기고 말았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디지털혁명이 주는 기회와 위협을 정확히 인지하고 국가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연구소의 주장이다.

이를위해 연구소는 우선 디지털혁명에 대응한 국가모델을 설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즉 디지털기술 개발이나 규제완화는 미국,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변신은
일본, 사회통합 문제는 EU(유럽연합)의 경험을 벤치마킹해 우리기업의
비즈니스모델에 상응하는 국가모델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연구소는 특히 정치부문에 디지털혁명이 활용될 여지가 많다고 지적했다.

즉 "디지털국가의 핵심은 디지털기술과 인터넷 등을 활용해 정치과정과
정책결정을 효율화 및 민주화하는 것"이라며 "사이버공동체를 형성하거나
선거비와 정당운영비를 절감하는 등 정치부문에도 광범위하게 디지털혁명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아울러 반도체, 정보통신기기, 인터넷장비 등 현재 세계 톱수준에 도달해
있는 정보통신(IT) 산업을 집중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존업종에 디지털기술과 인터넷을 접목시켜 효율을 높이는 고부가가치화
하는 것도 한 방안으로 제시됐다.

디지털시대를 주도할 핵심인력과 벤처기업 양성도 시급한 과제로 꼽혔다.

연구소는 "디지털시대에 요구되는 인력은 상상력이 풍부한 고기술, 고숙련
노동력이기 때문에 국가와 기업 모두 고품질의 인력양성에 주력해야 할 것"
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화에 대응한 법과 제도 정비도 서둘어야 한다.

전국을 하나로 엮고 해외와도 연계된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구축해 정보접근
불균형을 해소해야 하는 것이 정부의 과제다.

이와함께 전자상거래의 확산과 해킹, 사이버테러, 정보전 등에도 대처해
행정, 통신, 금융 등 국가 정보통신기반시설의 보호장치도 정비해야 하는
것도 과제로 제시됐다.

< 김병일 기자 kbi@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2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