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를 겪으면서 국민들이 정치인을 선택하는 기준도 크게 달라졌다.

종전에는 도덕성 지도력 등이 중요한 덕목이었지만 이제는 경제문제를
얼마나 잘 해결할 수 있는지 여부가 정치인을 선택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됐다.

최근 실시된 여론조사의 결과도 이같은 유권자의 의식 변화를 뒷받침
해준다.

유권자들은 경제해결능력(36%)을 정치인에게 요구되는 제1의 덕목으로
꼽았다.

도덕성(28%), 청렴성(23%)등은 그 다음이었다.

승승장구했던 우리 경제가 순식간에 무너지는 상황을 경험한 국민들이
경제 전문가에 대해 이전보다 더 큰 호감을 갖게 된 것이다.

새천년 민주당 김민석 의원은 "경제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경제 전문가에게 국정을 맡겨야 한다는 생각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경제계 출신 인사들은 상당한 프리미엄을 갖게 됐다"고 설명했다.

경제계 인사가 각 정당에서 "인기 상한가"를 기록하고 있는 것도 이같은
현실의 반영이다.

총선 공천경쟁에 나선 비경제계 출신 인사들까지 "경영학과를 나온...",
"지역경제의 해결사..." 등의 모토를 사용하고 있는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다.

현역 의원들의 상황도 이와 다르지 않다.

여당의 중진 반열에 오른 김근태 의원은 국회 재경위에 자원, 경제문제를
풀어갈 수 있는 정치인이라는 인상을 주기 위해 노력했다.

법조계 출신의 전국구인 한나라당 김영선 의원은 국회 정무위와 예결위
활동을 통해 경제에 강한 정치인이란 인상을 심어주기 위해 진력했다.

법대출신의 한나라당 김재천 의원은 당내에서는 "경제 대변인"으로 통할
정도로 활발히 활동했으며 같은 상임위의 자민련 변웅전 의원도 "방송인"
보다는 "경제를 아는 의원"이란 이미지를 쌓기 위해 노력했다.

이종찬 전 국정원장은 디지털 시대에 살아남는 방법을 담은 책을 저술하는
등 "정보화 시대에 걸맞은 정치인"으로 변신을 꾀하고 있다.

국민 각자의 경제 생활이 무엇보다 중요해졌고 정치에서도 국민들의 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기능이 부각되고 있어 경제 전문가들의 입지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 김남국 기자 nkkim@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2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