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경쟁시대로 접어든 새천년에 대비해 세계 각국은 국가 과학기술 비전을
수립 추진중이다.

미국 일본은 물론 아시아의 주요 경쟁국들도 예외가 아니다.

21세기의 첫 25년은 과학기술 발전을 토대로 전지구적으로 새로운 도약이
일어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는 하원과학위원회가 지난 1998년 내놓은 "미래를 여는 새로운
과학정책"을 비롯해 "21세기를 향한 과학기술" 및 "국익을 위한 과학기술"
등이 대표적인 과학기술 비전들로 꼽힌다.

모두 기초과학 수학 공학 첨단연구영역 등에서 21세기에도 미국이 세계의
기술주도권을 유지하는 것을 정책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미래를 바꿀 주요 변혁인자로는 정보통신 소재 유전자 에너지 등을 꼽았다.

일본은 작년에 경제심의회에서 정한 "경제.사회의 바람직한 모습과 경제회생
의 정책방침"을 통해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이 비전은 연구성과의 국민 사회 경제로의 환원과 세계 인류의 지적 자산
확충에 공헌하는 것을 정책 목표로 설정했다.

유럽에는 2002년을 전망한 "연구개발 기본계획"이 있다.

과학기술의 우수성을 확보하고 과학기술적 기능과 경제사회적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킨다는게 정책 목표다.

대만은 1997년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펴낸 백서를 통해 2010년까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연구중심지와 첨단제조센터를 설치해 기술진보 국가를 구현
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목표로는 과학기술수준 향상, 경제발전 도모, 생활수준 향상, 자주국방
확립 등을 제시했다.

싱가포르는 "기술혁신 21"을 통해 혁신첨단기술 기업 창출을 통한 21세기
경쟁력 제고를 정책 목표로 설정했다.

호주의 경우 1996년 수립한 "과학기술 장기전략"에 21세기 비전을 담고
있다.

과학기술 기반사회 마련을 정책 목표로 정하고 국민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을 높이는 등의 시책을 펼쳐 오고 있다.

< 이방실 기자 smile@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2월 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