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국제경쟁에서 살아 남으려면 새로운 개념의 제품을 만들어내는
제품혁신이 필수적이다. 제품혁신은 원천기술을 갖고 있어야만 가능하다.
지금까지 처럼 기존 기술을 모방하거나 개량하는 것으론 안된다"

손욱(55) 삼성종합기술원 원장은 원천기술의 확보는 한국산업의 21세기
생존전략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손 원장은 특히 정보통신 바이오 신소재 분야에서 핵심기술을 서둘러 개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에 지금 원천기술이 왜 중요한가.

"한국 상품은 중국 동남아국가 제품과 치열한 가격경쟁을 벌이고 있다.

또 품질 면에선 제너럴일렉트릭(GE) 모토로라 소니 등 선진기업과 경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샌드위치 상황"을 돌파하려면 프로세스 혁신을 통해 저가격 고품질을
달성하고 새로운 개념의 제품을 창출하는 제품혁신을 추구해야 한다.

여기서 핵심 원천기술은 말그대로 핵심이다"

-생산기술은 더이상 중요하지 않다는 말인가.

"생산기술 역시 여전히 중요하다.

메모리 반도체나 LCD(초박막액정표시장치) 자동차 등의 생산력 우위도 계속
유지해야 한다.

여기서 원천기술이란 가치가 큰 핵심기술이란 뜻이다.

핵심기술 없이 조립만 하는 기술은 우리를 뒤쫓아 오는 후발국에 이미
경쟁력을 상실했다.

한국 산업의 수준을 한단계 도약시킬 수 있는 핵심기술 개발이야말로
한국의 최대 도전 과제다"

-그렇다면 한국이 주력해야 할 핵심 원천기술은 무엇인가.

"21세기 유망기술은 정보통신 바이오 신소재다.

정보통신의 경우 CDMA(부호분할다중접속) 기술을 글로벌화하고 IMT2000
에서도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

또 한국이 잘할 수 있으면서도 기획력이나 기반 부족으로 선진국에 빼앗긴
디지털 콘텐츠, 예컨대 애니메이션 산업 등을 육성해야 한다.

바이오는 인체의 유전자 지도가 오는 2003년 해석되면 디지털기술과
접목돼 새로운 시장을 형성할 것이다.

이때 바이오 종묘, 바이오 신약 등 유망영역에서 적극 진출해야 한다.

한국 산업경쟁력의 가장 큰 취약점인 신소재.핵심부품 역시 한국이 주력
해야할 원천기술 분야다.

신소재에선 나노기술과 MEMS 등이 차세대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부품 산업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오마에 겐이치의 지적을 떠나서라도 한국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부품산업의 육성이 필수적이다"

-핵심 원천기술의 확보를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나.

"국가차원의 전략이 필요하다.

1970년대엔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등 국가 주도의 산업정책이 있었다.

그러나 지난 10여년 간은 산업정책의 공백기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가는 산업정책을 명확히 해 기술혁신 기술입국의 기업가 정신을 다시
불러 일으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1세기 경쟁력을 좌우할 정보통신 바이오 신소재 분야에서 모두 잘 할수는
없다.

다만 국가 차원에서 전체적인 지도를 그리고 투자 포트폴리오를 짤 필요는
분명 있다"

< 차병석 기자 chabs@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2월 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