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2자격증] 유망자격증 : '메커트로닉스분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계기술에 전자및 컴퓨터 기술을 복합적으로 응용한 종합기술이 바로
메커트로닉스다.
주로 자동화제품 생산부문에서 활용된다.
메커트로닉스전문가는 기계류에 일렉트로닉스기술을 적용, 효율적인
기계시스템을 설계한뒤 제작한다.
메커트로닉스기사, 메커트로닉스산업기사, 생산자동화산업기사의 자격증을
딴뒤 공작기계 무인기계 로봇 공장자동화기기 생산및 유지.보수업체 등에서
근무할수 있다.
메커트로닉스기사는 메커트로닉스에 관한 공학적 기술이론과 지식을 바탕
으로 설계 시공 분석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메커트로닉스산업기사와 생산자동화산업기사는 메커트로닉스와 생산자동화에
관한 기초기술이론.지식 또는 숙련 기능을 갖춘채 복합적인 기능업무를
처리할수 있어야한다.
1년 경력의 관련 분야 기능사, 2년 경력자, 전문대학 졸업자 등은 산업기사
시험에 응시할수 있다.
메커트로닉스기사에는 대학졸업자, 1년 경력의 산업기사, 3년 경력의 기능사
등이 지원할수 있다.
메커트로닉스산업기사 필기시험과목은 <>기계제작법및 CAD/CAM <>기계설계및
기계재료 <>시스템 설계및 메커트로닉스공학 <>공유압및 자동제어 등이다.
시험시간은 과목당 30분.
실기과목은 CNC공작기계, PLC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제어, 자동화물류 제어
등과 관련된 메커트로닉스 실무.
6시간동안 자동화 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작하고 시험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지난 98년의 경우 메커트로닉스산업기사 필기시험 합격률은 20.7%, 실기는
96.6% 였다.
대학및 전문대학의 기계 관련 학과, 5개 기능대학의 메커트로닉스과,
광주.공주 직업훈련원에서 배울수 있다.
올해 메커트로닉스기사는 1회, 메커트로닉스산업기사는 2회, 생산자동화
산업기사는 3회 시험이 실시된다.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2월 2일자 ).
메커트로닉스다.
주로 자동화제품 생산부문에서 활용된다.
메커트로닉스전문가는 기계류에 일렉트로닉스기술을 적용, 효율적인
기계시스템을 설계한뒤 제작한다.
메커트로닉스기사, 메커트로닉스산업기사, 생산자동화산업기사의 자격증을
딴뒤 공작기계 무인기계 로봇 공장자동화기기 생산및 유지.보수업체 등에서
근무할수 있다.
메커트로닉스기사는 메커트로닉스에 관한 공학적 기술이론과 지식을 바탕
으로 설계 시공 분석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메커트로닉스산업기사와 생산자동화산업기사는 메커트로닉스와 생산자동화에
관한 기초기술이론.지식 또는 숙련 기능을 갖춘채 복합적인 기능업무를
처리할수 있어야한다.
1년 경력의 관련 분야 기능사, 2년 경력자, 전문대학 졸업자 등은 산업기사
시험에 응시할수 있다.
메커트로닉스기사에는 대학졸업자, 1년 경력의 산업기사, 3년 경력의 기능사
등이 지원할수 있다.
메커트로닉스산업기사 필기시험과목은 <>기계제작법및 CAD/CAM <>기계설계및
기계재료 <>시스템 설계및 메커트로닉스공학 <>공유압및 자동제어 등이다.
시험시간은 과목당 30분.
실기과목은 CNC공작기계, PLC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제어, 자동화물류 제어
등과 관련된 메커트로닉스 실무.
6시간동안 자동화 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작하고 시험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지난 98년의 경우 메커트로닉스산업기사 필기시험 합격률은 20.7%, 실기는
96.6% 였다.
대학및 전문대학의 기계 관련 학과, 5개 기능대학의 메커트로닉스과,
광주.공주 직업훈련원에서 배울수 있다.
올해 메커트로닉스기사는 1회, 메커트로닉스산업기사는 2회, 생산자동화
산업기사는 3회 시험이 실시된다.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2월 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