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상 차림은 "가가례"로 불릴 정도로 음식 종류나 놓는 위치가 지방마다
혹은 집집마다 제각각이다.

음식 가짓수같은 형식에 얽매이기보다 형편에 맞춰 정성스럽게 차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대한주부클럽연합회에서 권장하는 상차림법을 소개한다.

차례상은 북쪽을 향해 놓는 게 원칙.

상의 제일 안쪽에 지방을 모시며 남자 조상이 왼쪽, 여자조상이 오른쪽에
오도록 놓는다.

지방 대신 사진을 써도 된다.

차례상은 시접(수저를 담아두는 그릇)과 잔반(잔과 술잔받침)을 제일 먼저
올리는데 신위 앞에 떡국을 올리고 시접과 잔반은 떡국의 왼쪽에 올려놓는다.

시접은 한분의 제사에는 왼쪽에,두분 이상의 제사에는 가운데 올려놓는다.

상의 둘째줄에는 초간장과 쇠고기 두부 생선등 재료별로 나눈 전(부침)과
적(구이) 접시를 놓되 각각 한가지씩으로 줄여도 괜찮다.

셋째줄에는 육탕(쇠고기) 소탕(두부와 채소) 어탕(생선)을 두는 게
기본이지만 재료를 한데 섞어 끓인 합탕으로 대체하는 추세다.

넷째줄에는 포(북어 고기 또는 오징어 문어 말린 것)나물 간장 나박김치
식혜를 놓는다.

다섯번째 줄에는 서쪽에서 동쪽을 향해 밤 배 감(약과) 사과 대추를 차례로
놓는다.

과일은 세가지 정도만 놓아도 무방하다.

조기나 포도 과감히 생략한다.

그러나 상차림의 기본 형식은 지켜준다.

즉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 "홍동백서", 생선을 동쪽에
육류를 서쪽에 놓는 "어동육서", 생선머리를 동쪽에 두는 "동두서미", 왼쪽에
포를, 오른쪽에 식혜를 놓는 "좌포우혜" 등을 따르라는 것.

차례음식을 조리할 때는 고춧가루 마늘 파 등을 쓰지 않고 간장과
소금으로만 조리한다.

따라서 김치는 나박김치 물김치등 흰김치만 올린다.

꽁치 갈치처럼 "치"자로 끝나는 생선과 혼을 쫓는다는 복숭아는 금기시된다.

밤은 껍질을 벗기고 다른 과일은 놓기 편하게 위아래를 도려낸다.

제사때 세번 올리는 술은 차례의 경우 1번만 올리며 차로도 대신할 수 있다.

최근엔 전통제수 대신 조상이 좋아하던 음식을 올리거나 제철에 나는
신토불이 식품으로 음식종류만 각 열에 맞춰 차리면 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 김혜수 기자 dearsoo@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2월 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