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남홍 한국경영자총협회 부회장은 14일 "경제계의 정치활동은 노사문제와
관련된 내용에 국한하는 만큼 이를 두고 악의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당초 예상과 달리 의정평가 활동 내용이 소극적인데 혹시 정부측으로부터
자제요청이 있었나.

<> 자제 요청은 따로 없었다.

의정평가활동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힌 것은 최근 우리의 의정평가 활동이
마치 재벌의 정치활동인 것처럼 잘못 이해되거나 정경유착으로 오해를 빚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예정보다 톤이 크게 달라진 것은 없다고 본다.

- 간행물에 싣는다면 사실상의 공표 아닌가.

<> 현행 선거법에 저촉될 여지는 없지만 언론을 통한 공표가 개정 이전
선거법상 문제가 됐었다.

또한 이번 의정평가 활동의 목적은 회원사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 의원 명단을 공표하지 않는다면 과연 정치활동이라고 할 수 있나.

과연 당락에도 영향을 줄 수 있겠느냐.

<> 의정평가 활동이지 정치활동을 한다고 한 적은 없다.

그리고 당락에 영향이 있을지 없을지는 현재로서는 모르는 일이다.

음으로 양으로 영향이 없다고 할수는 없을 것이다.

- 의정평가위원회는 언제까지 운영되나.

<> 이번 선거와 관련없이 계속 운영될 것이다.

- 평가대상 의원은.

<> 노사관련 사항이기 때문에 광범위하다.

무엇보다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대상이 되지만 산자위, 재경위,
보건복지위 소속 의원도 포함된다.

- 의정평가 활동이 의원들의 후원금 모금활동에 영향을 주겠는가.

<> 새로 구성되는 의회의 4년 임기내내 영향이 있을 것으로 믿는다.

- 노동계가 낙선의원 명단을 발표한다고 하는데.

<> 한국노총이나 민노총이 명단을 발표할 경우 우리가 검토해서 산업평화,
노사문제에 관해 건전한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이 매를 맞고 있다고 판단
되면 성명을 발표하는 등의 액션을 취할 계획이다.

- 노동계의 낙선운동이 의정평가위 활동에 영향을 주나.

<> 노동계 운동의 강도나 내용에 따라 경제단체의 의정평가 활동 범위와
내용도 달라질 수 있다.

오늘 회의에서 경제안정을 위해서는 산업평화가 중요한데 저쪽(노조)이
너무 앞서니까 이렇게 대응할 수 밖에 없다는 자괴의 소리도 나왔다.

필요하면 그때 그때 대응할 것이다.

< 이익원 기자 iklee@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2월 1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