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한국전력에 따르면 지난해 심야전력 판매량은 32억9천3백만kWh로
98년의 18억9천7백만kWh에 비해 73.5% 증가했다.
5년전인 94년의 9억8천2백만kWh에 비해서는 3백35% 증가했다.
지난해 원유가격이 치솟아 석유보일러를 전기보일러 또는 전기온돌로
바꾸는 가구가 늘면서 심야전력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다고 한전은 밝혔다.
심야전력제도는 전기사용이 적은 밤10시부터 오전 8시까지 전기를 공급받아
열 온수 또는 얼음을 만들어 저장한 후 사용하는 에너지 사용기기에 대해
값싼 전기요금을 적용하는 제도.
심야전력요금은 23.20원/kWh으로 주택용 전기요금 평균91.59원/kwh의
4분의 1 수준이다.
한전은 심야전력의 평당 월 난방비는 3천6백61원으로, 도시가스
(4천8백31원), 등유(7천3백26원), 액화석유가스(LPG.7천4백85원)보다 훨씬
저렴하다고 설명했다.
심야전력 사용자에게는 심야기기설치보조금지원 에너지이용합리화자금융자
설치비손금산입등의 혜택도 부여된다.
이 때문에 전기보일러 전기온돌 전기온풍기 전기온수기 등 축열식 난방기
보급실적은 용량기준으로 97년 41만7천kw에서 98년 1백1만9천kw, 99년
2백14만kw로 급증했다.
(02)3456-5264
< 김성택 기자 idntt@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2월 1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