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번호가 찍혀 나오지 않고 소비자가 번호를 선택하는 미국의 "로토
(lotto)"식 온라인 복권이 국내에서도 등장한다.

24일 관련부처에 따르면 노동부와 건설교통부, 문화관광부 등 8개 복권발행
관련부처는 최근 회의를 열고 오는 12월께 복권발행기관 연합으로 온라인
복권 사업을 벌이기로 합의했다.

대형 슈퍼마켓이나 병원 상가 등에 설치된 단말기를 통해 복권구입자가
번호와 추첨방식 등을 골라 입력하면 곧바로 복권이 출력되는 방식이다.

현재 발행되는 복권은 번호가 정해져 있는 것을 구입하는 방식이어서 구입자
가 활동하지 않는 지역에 배포된 복권은 원천적으로 살 수 없게 돼 있다.

그러나 "로토" 식으로 복권을 발행하면 구입자의 생일 등 기념일이나
자동차번호 등 원하는 번호를 지정할 수 있어 복권 고유의 특징을 살릴 수
있다.

정부는 번호를 완전 자유화하는 방식과 함께 미리 정해진 번호를 고르게
하는 방식도 함께 고려중이다.

특히 당첨자가 없을 경우 상금이 다음번 추첨으로 넘어가 계속 누적되도록
해 경우에 따라서는 기존 복권 최고당첨금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의
"일확천금"을 거머쥐는 사람도 생길 것으로 보인다.

복권구입자가 선택한 복권의 번호나 당첨방식 등의 정보는 입력 즉시 메인
컴퓨터로 모아져 관리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별도의 복권관리 전산시스템을 개발하거나 외국에서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 복권에 참여하는 기관은 건설교통부(주택복권) 문화관광부(체육복권)
과학기술부(기술복권) 행정자치부(자치복권) 노동부(복지복권) 중소기업청
(기업복권) 산림청(녹지복권) 제주도청(관광복권) 등 8개다.

이들 기관들은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맞추기 위해 기존 복권은 그대로
발행하면서 온라인 복권사업을 별도로 벌인다는 방침이다.

복권판매 수익금은 전용면적 25.7평 이하의 중소형 주택건설을 위한 국민
주택기금과 근로자 복지기금조성등에 쓰인다.

구체적인 당첨금과 게임방식은 아직 확정하지 않았으나 최근 30억원짜리
복지복권이 등장하는 등 당첨금의 고액화 추세를 감안할 때 온라인 복권의
최고당첨금은 우선 50억~1백억원 선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당첨자가 없을 경우 당첨금이 누적되기 때문에 여러 차례 당첨자가 나오지
않으면 당첨금은 엄청나게 커질 수 있다.

그러나 수익금 배분 문제를 놓고 각 부처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 온라인
복권발행이 다소 진통을 겪을 가능성도 있다.

현재 복권시장 점유율이 큰 건설교통부와 문화관광부 과학기술부 등은
시장점유율에 따라 수익금을 나누자는 입장인 반면 다른 부처는 균등배분을
주장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지금까지 민간에게는 복권발행권을 주지 않아온 점을 감안해
온라인복권도 정부가 발행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복권의 발행과 관리를 공공기관이 맡아 수수료와 관리비 등이 많이
나가는 등 비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온라인 복권이 발행
되면 저비용 고효율의 복권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연간 국내 복권시장 규모는 1조4천억원 가량이며 새 복권이 나오면
시장 규모가 2조억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이건호 기자 leekh@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2월 2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