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파워 NGO] '교육개혁 시민운동연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1985년 5월21일 창립
<> 평생학습법 제정 공청회(98.7.23)
<> 초중등교육법 개악 항의집회(98.12.27)
<> 이권관련 의원 상임위 배치 헌법소원(98.12.29)
<> 교육시민운동활동가 워크숍(99.3.27)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동숭동 1-28 401호
<> 전화 : (02)3675-4538
------------------------------------------------------------------------
지난 98년말 교육개혁시민운동연대는 국회 교육위원들을 상대로 한 투쟁에서
"작은 승리"를 거뒀다.
사립학교에도 학교운영위원회(학운위)를 의무적으로 설치토록 하는 내용의
초중등교육법이 통과됐기 때문.
학운위의 위상이 학교운영에 관한 심의.의결기구에서 자문기구로 격하돼
"반쪽의 승리"가 됐지만 시민단체의 힘을 보여준 사례중 하나였다.
당초 사립학교의 학운위 설치 의무화에 부정적이었던 국회 교육위 의원들도
매일 국회로 출근, 상임위 앞에 진을 치고 있는 교육개혁시민운동연대 회원들
의 "극성"에 마침내 손을 들었다.
교육개혁시민운동연대는 지난 98년 5월 출범했다.
"국민의 정부" 출범 직전 전교조 참교육학부모회 교육운동협의회 등 5개
단체가 공동으로 교육개혁 토론회을 연 것이 계기가 됐다.
좀더 효율적인 교육개혁 운동을 추진하기 위해선 관련 단체들이 힘을 모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12개 단체로 창립했지만 지금은 회원단체가 18개로 불어났다.
사립대교수협의회 전교조 흥사단 인간교육실현 학부모연대 정의로운 사회를
위한 교육운동협의회 역사문화아카데미 경실련 기독교윤리실천운동 참교육
시민모임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참여민주사회 시민연대 한국 YMCA전국
연맹 인간성회복운동추진협의회 등이 참여하고 있다.
매월 운영위원회와 정책위원회를 한차례씩 열어 단체운영과 활동방향 등을
논의한다.
그동안 각종 세미나와 기자회견, 성명서 발표, 항의 시위 등을 통해
교육개혁에 대한 입장을 밝혀왔다.
98년말엔 국회 교육위 소속 일부 위원들이 학교재단을 소유하거나 관련이
있다며 "이권관련 의원 상임위 배치 반대" 헌법소원을 내 주목을 받기도
했다.
지난 15일에는 단체 대표들이 문용린 교육부 장관과 만났다.
이 자리에서 정부와 NGO간 공식.비공식 대화 채널을 갖자고 제의해
성사시켰다.
"피플 파워"를 실감케 해주는 대목이다.
교육개혁시민운동연대는 앞으로 교육관련 인사 모니터링을 할 계획이다.
국회의원은 물론 정부 관료와 학자들을 대상으로 교육개혁에 관한 입장과
역할에 대해 감시한다는 구상이다.
오는 5월에는 교육개혁운동사를 총정리한 "민간교육백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사립학교법 개정 운동도 계속 펼친다는 계획이다.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최현섭 교육운동협의회 집행위원장(강원대 교수)는
"사립학교의 비중이 60%를 차지하는 교육현실에서 공익이사제 활성화 등을
통해 사학의 투명경영이 이뤄지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사립학교법
개정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운영위원장과 공동대표를 겸하고 있는 최 교수 외에 김태정 사립대교수
협의회 연합회장(한국외대교수), 이부영 전교조위원장, 전풍자 인간교육실현
학부모연대 대표 등이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 이건호 기자 leekh@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2월 25일자 ).
<> 평생학습법 제정 공청회(98.7.23)
<> 초중등교육법 개악 항의집회(98.12.27)
<> 이권관련 의원 상임위 배치 헌법소원(98.12.29)
<> 교육시민운동활동가 워크숍(99.3.27)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동숭동 1-28 401호
<> 전화 : (02)3675-4538
------------------------------------------------------------------------
지난 98년말 교육개혁시민운동연대는 국회 교육위원들을 상대로 한 투쟁에서
"작은 승리"를 거뒀다.
사립학교에도 학교운영위원회(학운위)를 의무적으로 설치토록 하는 내용의
초중등교육법이 통과됐기 때문.
학운위의 위상이 학교운영에 관한 심의.의결기구에서 자문기구로 격하돼
"반쪽의 승리"가 됐지만 시민단체의 힘을 보여준 사례중 하나였다.
당초 사립학교의 학운위 설치 의무화에 부정적이었던 국회 교육위 의원들도
매일 국회로 출근, 상임위 앞에 진을 치고 있는 교육개혁시민운동연대 회원들
의 "극성"에 마침내 손을 들었다.
교육개혁시민운동연대는 지난 98년 5월 출범했다.
"국민의 정부" 출범 직전 전교조 참교육학부모회 교육운동협의회 등 5개
단체가 공동으로 교육개혁 토론회을 연 것이 계기가 됐다.
좀더 효율적인 교육개혁 운동을 추진하기 위해선 관련 단체들이 힘을 모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12개 단체로 창립했지만 지금은 회원단체가 18개로 불어났다.
사립대교수협의회 전교조 흥사단 인간교육실현 학부모연대 정의로운 사회를
위한 교육운동협의회 역사문화아카데미 경실련 기독교윤리실천운동 참교육
시민모임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참여민주사회 시민연대 한국 YMCA전국
연맹 인간성회복운동추진협의회 등이 참여하고 있다.
매월 운영위원회와 정책위원회를 한차례씩 열어 단체운영과 활동방향 등을
논의한다.
그동안 각종 세미나와 기자회견, 성명서 발표, 항의 시위 등을 통해
교육개혁에 대한 입장을 밝혀왔다.
98년말엔 국회 교육위 소속 일부 위원들이 학교재단을 소유하거나 관련이
있다며 "이권관련 의원 상임위 배치 반대" 헌법소원을 내 주목을 받기도
했다.
지난 15일에는 단체 대표들이 문용린 교육부 장관과 만났다.
이 자리에서 정부와 NGO간 공식.비공식 대화 채널을 갖자고 제의해
성사시켰다.
"피플 파워"를 실감케 해주는 대목이다.
교육개혁시민운동연대는 앞으로 교육관련 인사 모니터링을 할 계획이다.
국회의원은 물론 정부 관료와 학자들을 대상으로 교육개혁에 관한 입장과
역할에 대해 감시한다는 구상이다.
오는 5월에는 교육개혁운동사를 총정리한 "민간교육백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사립학교법 개정 운동도 계속 펼친다는 계획이다.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최현섭 교육운동협의회 집행위원장(강원대 교수)는
"사립학교의 비중이 60%를 차지하는 교육현실에서 공익이사제 활성화 등을
통해 사학의 투명경영이 이뤄지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사립학교법
개정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운영위원장과 공동대표를 겸하고 있는 최 교수 외에 김태정 사립대교수
협의회 연합회장(한국외대교수), 이부영 전교조위원장, 전풍자 인간교육실현
학부모연대 대표 등이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 이건호 기자 leekh@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2월 2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