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포스256칩을 사용한 그래픽카드.

최근 "레인보우6"이나 "퀘이크3" 같은 3차원 게임이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런 게임들은 3차원 공간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모습을 표현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계산이 필요하다.

복잡한 그래픽을 빨리 처리하기 위해서는 좋은 그래픽카드가 필수적이다.

이번에 테스트한 "지포스256을 사용한 그래픽카드"는 3차원 게임 마니아
사이에 인기가 높은 제품이다.

지포스256은 3차원 가속칩으로 그래픽카드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칩.

지금까지 프로그램(SW)적으로 처리하던 부분을 칩 안에서 기계적(HW)으로
처리하는 기능(HW T&L)을 갖추고 있어 다른 3차원 가속칩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속도가 빠르다.

국내에서는 아직 지포스256을 사용한 제품이 많지 않다.

2월부터 일부 국내업체에서 수입하거나 개발을 완료해 판매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지포스256 그래픽카드 제품은 SDRAM을 사용하는 제품과 이보다 두배 빠른
DDRRAM을 사용하는 두가지 제품이 있다.

이번 테스트에는 두 가지 제품과 함께 최근 조립 컴퓨터에 많이 사용되는
보통 그래픽카드 "반타32" 제품을 비교했다.

<> 테스트 제품

-반타 32
-지포스256 DDR
-지포스256 SDR

<> 테스트 프로그램과 테스트 방법

-3D윈벤치2000 1.0
-3D마크2000
-퀘이크3아레나 데모

이번 벤치마크에서는 그래픽 성능과 3차원 게임 때의 속도를 측정했다.

테스트에 사용한 "3차원 윈벤치2000 1.0"은 그래픽카드의 3차원 처리 성능을
광범위하게 테스트하는 프로그램이다.

개별적인 동작과 효과처리를 테스트할 뿐만 아니라 모든 것을 종합한
동작속도도 함께 측정한다(www.zdnet.com 참조).

"3D마크2000"은 화면 해상도, 처리 색깔, 효과에 따른 종합적인 측정을
한다(www.madonion.com 참조).

두 가지 테스트를 통해 각 그래픽카드의 3차원 처리 성능과 속도를 비교할
수 있다.

실제 게임을 할 때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퀘이크3아레나 데모1"을
사용했다.

실제 게임을 이용하는 테스트는 사용자가 성능을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방법이다.

테스트 단위는 초당 처리하는 화면수다(www.idsoft.com 참조).

<> 테스트 결과

"3D윈벤치2000"로 측정한 결과 반타보다 지포스256 SDRAM이 3.36배, DDRRAM
이 4.46배 나은 성능을 보였다.

지포스256은 프로그램으로 처리하던 것 중 상당부분(T&L)을 칩에서 처리하는
데 반타보다 두배 이상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실제 게임에서 측정한 화면처리 수치는 일반 그래픽카드인
반타보다 지포스 SDRAM이 3.7배 DDRDRAM이 5.3배의 빨랐다.

결론적으로 DDRRAM을 사용한 제품이 값은 비싸지만 속도는 훨씬 빨랐다.

3차원 게임을 고해상도(1,600X1,200)에서 실행할 때도 성능저하가 별로
느껴지지 않을 정도였다.

<> 테스트 사양

CPU :인텔 펜티엄III-550
메모리 :128MB
메인보드 :AL-BX5c
하드디스크 :퀀텀 6.4GB
모니터 :T17XR

* 자료: (주)다물시스템 (www.benchmark.co.kr)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2월 2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