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총-경총 임금인상률 이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임금교섭 시즌을 앞두고 노.사가 임금인상률을 놓고 팽팽히 맞서고 있다.
민주노총은 올해 임금을 지난해보다 13.2~17.2%를 올려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노총은 13.2%란 단일임금상승률 목표를 제시한 상태다.
이에반해 한국경총은 5.4% 인상하는게 적정하다는 입장.
재계는 지난해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이 1백59만9천원으로 98년보다 무려 12.1% 인상됐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임금도 전년대비 11.1% 올랐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는 IMF체제 이전인 96년의 임금상승률(11.9%)보다 높은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한마디로 임금수준이 IMF이전 수준으로 회복됐다는 것이다.
게다가 지난해 3.4분기부터 임금상승률이 생산성 증가분을 넘어섰다며 한자리수 인상률의 당위성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맞서 노동계는 지난해 월평균 근로시간이 월 2백8.1시간으로 전년대비 4.5% 늘어난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인력은 줄어든 반면 일감이 늘어나면서 근로자들은 연장작업 등에 시달린 결과가 임금이 크게 상승했을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같은 논란이 일자 노동부는 시간외 근로수당과 특별상여금 등 초과.특별급여를 제외한 채 지난96년이후 지난해까지 정액급여와 정상근로시간을 비교한 자료를 내놓았다.
이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월평균 정액급여는 1백11만4천원으로 98년보다 6.1%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임금기준으로는 5.2% 상승했다.
지난해 시간당 임금은 6천79원으로 전년대비 3.7% 올랐다.
실질임금 기준을 기준으로 하면 시간당 임금이 5천1백17원에 불과해 전년보다 2.8% 올랐지만 97년의 5천1백43원에 비해서는 0.5% 낮은 수준이다.
노동부 관계자는 "정액급여과 정상근로시간을 잣대로 비교하면 지난해 임금 수준이 IMF체제 이전 상태로 회복했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 최승욱 기자 swchoi@ked.co.kr >
민주노총은 올해 임금을 지난해보다 13.2~17.2%를 올려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노총은 13.2%란 단일임금상승률 목표를 제시한 상태다.
이에반해 한국경총은 5.4% 인상하는게 적정하다는 입장.
재계는 지난해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이 1백59만9천원으로 98년보다 무려 12.1% 인상됐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임금도 전년대비 11.1% 올랐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는 IMF체제 이전인 96년의 임금상승률(11.9%)보다 높은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한마디로 임금수준이 IMF이전 수준으로 회복됐다는 것이다.
게다가 지난해 3.4분기부터 임금상승률이 생산성 증가분을 넘어섰다며 한자리수 인상률의 당위성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맞서 노동계는 지난해 월평균 근로시간이 월 2백8.1시간으로 전년대비 4.5% 늘어난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인력은 줄어든 반면 일감이 늘어나면서 근로자들은 연장작업 등에 시달린 결과가 임금이 크게 상승했을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같은 논란이 일자 노동부는 시간외 근로수당과 특별상여금 등 초과.특별급여를 제외한 채 지난96년이후 지난해까지 정액급여와 정상근로시간을 비교한 자료를 내놓았다.
이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월평균 정액급여는 1백11만4천원으로 98년보다 6.1%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임금기준으로는 5.2% 상승했다.
지난해 시간당 임금은 6천79원으로 전년대비 3.7% 올랐다.
실질임금 기준을 기준으로 하면 시간당 임금이 5천1백17원에 불과해 전년보다 2.8% 올랐지만 97년의 5천1백43원에 비해서는 0.5% 낮은 수준이다.
노동부 관계자는 "정액급여과 정상근로시간을 잣대로 비교하면 지난해 임금 수준이 IMF체제 이전 상태로 회복했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 최승욱 기자 swchoi@ked.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