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간 국가채무와 국부유출 공방이 국가 신인도 논란으로 비화되고 있다.

민주당은 22일 야당의 무책임한 국가부채 주장이 우리의 대외 신인도에 악영향을 줄 정도로 외국인 투자자들이 동요하고 있다고 공격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외국인들이 다 알고 있는 국가부채 규모를 덮어두려는게 오히려 국가 신인도를 떨어뜨리고 있다"고 반격했다.

민주당 김한길 선거기획단장은 이날 "주요 외국투자자들은 정치권의 논란이 심화되면서 한국 국민들의 외국자본에 대한 배격정서가 촉발될까 우려하고 있다"며 "결과적으로 국가 신인도에 심각한 악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이어 "재경부 장관이 주한 미국 상공회의소 회장단을 찾아가 국가부채 문제를 해명하는 일까지 발생했고 일본 상공인들의 모임인 서울저팬클럽에서도 정부측의 입장 표명을 요구하는 등 정치권의 소모적인 공방이 외국인들을 동요시키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동영 대변인은 "작년 9월 국가 신인도가 1백80개국중 40위로 약간 상향조정된 뒤 6개월째 답보상태"라며 "남북분단보다는 정치위험도의 상존으로 신인도가 오르지 못하고 있는 만큼 야당은 정치공세를 자제하고 최소한 애국적 입장이라도 견지하라"고 요구했다.

김성호 부대변인도 "당초 야당은 "우리 기업을 헐값에 넘겼다"고 주장하다 "외자유치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꼬리를 내리고 있다"며 "국부 유출론을 흘리고 다녀 외국인들의 불안심리를 증폭시키면 한나라당은 씻을 수 없는 죄를 짓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이한구 선대위 정책위원장은 "잠재적 채무까지 고려하는 외국 신용평가기관은 한국의 국가부채가 4백조원인 것을 알고 있는데 정부가 이를 덮어 두려 하는게 문제"라고 반박했다.

또 "오히려 부채규모를 공개하고 줄이려는 대책을 마련하는게 국가신인도를 높이는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정부 지급보증이 국가부채에 포함된다는 것은 지난해 10월 김종필 총리의 국회연설에서, 국민연금 적자예상액이 국가채무라는 것은 IBRD(세계은행)에서 확인됐다고 지적하고 "이제는 부채를 줄이기 위해 초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때"라며 여권을 몰아세웠다.

정태웅.김남국 기자 redael@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