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보다 높은 작년 경제성장률 10.7%는 수출과 소비가 주도했다.

일부에서 경기과열 가능성을 제기할 만한 수준이지만 성장의 이면엔 소득격차 확대와 산업별 양극화란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

<> 성장속의 그늘 =수출과 소비란 쌍두마차가 지난해 성장을 견인했다.

수출은 전년보다 19% 늘어났다.

민간소비도 전년대비 10.3%의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 수출과 소비의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는 각각 37.7%와 27.7%에 달한다는게 한은 분석이다.

업종별로는 명암이 엇갈렸다.

지난해 중화학공업의 성장률은 반도체 컴퓨터 통신기기 자동차 등의 생산이 크게 늘면서 25.9% 증가했다.

특히 정보통신 산업은 41.1%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성장의 일등공신이 됐다.

정정호 한은 국장은 "지난해 정보통신과 금융등 지식.정보 산업의 성장 기여도는 절반에 가까운 48.6%에 달했다"며 "한국판 신경제(new economy)를 기대케 하는 대목"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건설업 성장률은 주거용 및 상업용 건물건설이 모두 부진, 전년보다 10.1%나 곤두박칠쳤다.

대우경제연구소의 팽성일 연구위원은 "경기회복의 온기가 일부에 편중되는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부익부-빈익빈" 현상도 더욱 악화되는 추세다.

통계청이 전체 국민을 5등급으로 나누어 등급별 소득을 비교한 결과,최상위 계층인 5분위 소득이 최하층인 1분위의 5.49배로 나타났다.

외환위기 직전인 97년의 4.96배보다 확대된 수치다.

<> 총선이후 과제 =지난해에 이어 올 1.4분기 경제성장률도 10%를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4.13 총선과 맞물려 통화량이 급증하고 소비심리가 확산된다면 경기가 과열로 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부에선 총선이후 정부가 신속히 재정건전성을 확보하는 정책을 펴 인플레심리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준경 한국개발연구원 거시경제팀장은 "최근의 경기상승 추세를 볼때 경기과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정부가 재정을 긴축적으로 운영해 인플레 기대심리를 완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의 재정건전화를 통해 저금리 저물가의 성장고리를 계속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최공필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난해 고성장을 경기과열로 진단하기는 힘들지만 앞으로는 성장속도를 유지하는 것보다는 신속한 구조조정으로 경제체질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문건 삼성경제연구소 상무는 "고유가와 원화절상 압력 등 교역조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환율안정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대해 한은은 지난해 GDP의 전분기 대비상승률은 1분기 3.1%, 2분기 4.1%, 3분기 3.3%, 4분기 2.8%로 점점 성장속도가 둔화되고 있다며 경기과열 여부를 지금 상황에서 진단하기는 힘들다고 밝혔다.

김준현.유병언 기자 kimjh@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