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대우전자 주총은 회사와 소액주주들간의 신주 액면가 미달발행을 놓고 심각한 갈등이 예고됐으나 회사측이 기습 처리로 10분만에 끝났다.

그러나 소액 주주들은 이날 주총의 하자를 거론하고 소송제기 방침을 밝히는 등 강력히 반발하고 있어 주총 후유증이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이번 주총에 대비해 의결권 위임등 준비를 벌여온 소액주주 운동본부측은 이날 참가한 주식수가 특별안건 처리를 위해 필요한 총주식수(8천4백여만주)의 3분의 1(2천8백만주)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고 주총장에 입장하지 않는 전략을 구사했다.

그러나 대우전자는 회사측이 위임받은 1천5백만주와 일반 주주 2백만주,증권예탁원으로부터 예탁받은 3천7백만주 등 총 5천4백만주가 참석했다고 밝히고 특별 안건을 원안대로 통과시켰다.

회사측 관계자는 "소액주주들이 주총이 성립되지 않았다고 무효주장을 하나 회의는 상법상 내용에 따라 의결 정족수를 충족했다"고 말했다.

일부 소액주주들은 주총이 끝난 뒤 "왜 정식으로 투표를 하지 않느냐,이러려면 왜 주총을 열었냐,이번 주총은 무효다"라며 회사측에 욕설을 퍼부었다.

일부는 마포 대우전자 사옥으로 몰려가 거세게 항의하는 소동을 빚기도 했다.

소액주주 운동본부는 "신주 액면가 미달발행으로 채권단은 별다른 손해를 보지않고 향후 감자를 통해 소액주주만 피해를 입게 됐다"고 주장했다.

운동본부측은 이번 주총의 무효소송과 3조2천7백억원의 특별손실 등을 제대로 밝혀내지 못한 전 회계법인에 대해 법적으로 대응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진식 기자 jsyoon@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