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지난 98년에 비해 순위가 각각 2계단와 11계단씩 뛰어 오른 것이다.
24일 시장조사기관인 미국 데이터퀘스트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반도체 매출이 지난 98년보다 50.2% 증가한 71억2천500만 달러(4.2%)를 기록,미 모토롤러와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를 제치고 98년의 6위에서 4위로 올라섰다.
현대전자는 LG와의 통합이 마무리된 지난해 매출이 98년의 3배 가까이로 늘어난 48억3천만 달러(2.9%)를 기록,22위에서 11위로 껑충 뛰어 올랐다.
미국 인텔은 지난해 매출이 지난 98년보다 17.7% 늘어난 2백68억6백만달러(15.9%)를 기록,1위를 지켰고 일본의 NEC는 매출 92억1천만달러(5.5%)로 2위,도시바가 76억1천800만달러(4.5%)로 3위를 차지했다.
그외에 TI 5위(4.2%), 모토롤러 6위(3.8%), 히타치 7위(3.3%), 인피니온 8위(3.1%), STM 9위(3.0%), 필립스 10위(3.0%) 등으로 각각 나타났다.
지역별 시장 점유율을 보면 미주 시장의 경우 삼성이 3위(4.8%), 현대가 9위(2.4%)를,EU(유럽연합) 시장에서는 삼성이 7위(4.0%), 현대가 9위(2.9%)를 각각 차지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삼성 2위(5.2%),현대 6위(4.0%)로 각각 나타났으나 일본 시장에서는 삼성과 현대가 모두 10위권내에 들지 못하는 부진을 보였다.
지난해 메모리 및 비메모리 등 반도체 전체 세계시장 규모는 지난 98년에 비해 21% 가량 성장한 1천6백86억 달러를 기록했고 올해도 20~30% 가량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반도체 시장중 우리 나라의 주력 품목인 D램 시장은 지난 98년보다 46.4% 가량 늘어난 231억 달러 규모를 보여 전체 시장에서의 비중이 13.7%에 이르렀고 D램을 포함한 메모리 반도체 시장 규모는 3백53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익원 기자 iklee@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