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몽골 수교 10주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과 몽골이 공식적인 외교관계를 수립한지 지난 26일로 10주년을 맞았다.
양국은 수백년 전부터 여러 방면에서 관계를 맺어왔다.
특히 지난해 김대중 대통령의 몽골 국빈 방문과 몽골 총리의 한국 방문은 상호 친밀을 도모하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됐다.
양국의 최대 관심사인 경제부문에서는 지난해 양국간 교역규모가 약 3천6백만달러에 이를 정도로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이는 수교당시에 비해 무려 5배이상 증가한 수준으로 한국은 몽골의 4번째 교역국이 됐다.
한국의 대몽골 투자규모도 2천3백만달러에 달한다.
양국간 인적교류는 수교당시와 비교해 약 1백배 이상 급증한 1만6천여명에 이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양국간에는 무역협정,항공협정,문화협정,범죄인 인도조약,형사사법 공조조약 등 15개의 협정이 체결되어 다방면에서 상호 우호협력을 증진시켜 나가고 있다.
또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외교정책을 견지하는 몽골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유지와 관련,UN과 같은 국제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풍부한 천혜자원의 보고인 몽골과 선진 첨단 과학기술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은 앞으로 상호 협력관계를 늘릴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
양국정부는 한.몽수교 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양국 정부는 기념리셉션 개최,언론 인터뷰 등 행사를 벌이고 있다.
또 민간차원에서 한국 전통문화예술단이 지난 25~26일 이틀동안 몽골에서 공연을 가졌고 20일부터는 한국영화제도 개최한 바 있다.
양국 총리 축사,인터뷰 내용이 담긴 수교 10주년 기념책자도 발간,배포할 예정이다.
김병일 기자 kbi@ked.co.kr
양국은 수백년 전부터 여러 방면에서 관계를 맺어왔다.
특히 지난해 김대중 대통령의 몽골 국빈 방문과 몽골 총리의 한국 방문은 상호 친밀을 도모하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됐다.
양국의 최대 관심사인 경제부문에서는 지난해 양국간 교역규모가 약 3천6백만달러에 이를 정도로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이는 수교당시에 비해 무려 5배이상 증가한 수준으로 한국은 몽골의 4번째 교역국이 됐다.
한국의 대몽골 투자규모도 2천3백만달러에 달한다.
양국간 인적교류는 수교당시와 비교해 약 1백배 이상 급증한 1만6천여명에 이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양국간에는 무역협정,항공협정,문화협정,범죄인 인도조약,형사사법 공조조약 등 15개의 협정이 체결되어 다방면에서 상호 우호협력을 증진시켜 나가고 있다.
또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외교정책을 견지하는 몽골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유지와 관련,UN과 같은 국제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풍부한 천혜자원의 보고인 몽골과 선진 첨단 과학기술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은 앞으로 상호 협력관계를 늘릴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
양국정부는 한.몽수교 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양국 정부는 기념리셉션 개최,언론 인터뷰 등 행사를 벌이고 있다.
또 민간차원에서 한국 전통문화예술단이 지난 25~26일 이틀동안 몽골에서 공연을 가졌고 20일부터는 한국영화제도 개최한 바 있다.
양국 총리 축사,인터뷰 내용이 담긴 수교 10주년 기념책자도 발간,배포할 예정이다.
김병일 기자 kbi@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