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의 여야후보 전과기록 공개가 병역 납세문제 등과 함께 선거판도변화를 몰고올 태풍의 핵으로 등장했다.

당장 후보의 도덕성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유권자의 표심의 흐름을 바꿔 당락에 결정적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흑색선전이 난무하는 현재의 선거양상을 감안할때 전과문제는 당장 최대의 이슈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공약제시보다는 상대후보를 공격하는데 초점이 맞춰지는 합동연설회 등의 주요 쟁점이 될게 뻔하기 때문이다.

"사기혐의=사기꾼" "폭력혐의=폭력배"의 등식이 논쟁거리로 등장할 경우 해당 후보에게는 치명타가 될 수 있다.

여야가 대책마련에 나선 것은 바로 이같은 연유에서다.

민주당은 특히 10여명의 "386세대" 후보를 비롯해 자당 소속 후보들 가운데 민주화 투쟁으로 인해 실형을 선고받은 사람들까지 전과자로 취급받을 것을 우려, 지난해 국회에서 통과된 민주화운동유공자보상법 대상 후보자들로부터 전과사실을 취합, 선관위의 전과기록 공개에 앞서 1일 발표하고 유권자들의 이해를 구할 방침이다.

민주당은 31일 386세대 등 일부 후보에 대해 경쟁후보측이 제기하고 있는 "색깔론"에 대해서도 강력히 반박키로 했다.

한나라당은 후보자 전과기록 공개가 유권자의 알권리 차원에서 바람직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하면서도 인권침해의 소지를 거론하는 등 악재로 부상할 것을 경계했다.

이원창 선대위 대변인은 "후보개인의 명예실추는 물론 상대방의 비방자료로도 이용될 수 있고 가족에게도 불명예가 될 수 있다"며 "선의의 피해가 없도록 철저한 검증을 거쳐 개인소명자료와 함께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민련은 특히 민주당과 한나라당이 공천한 386세대를 집중 겨냥했다.

이규양 선대위 수석부대변인도 "전과공개시 드러나겠지만 자민련은 표적사정 희생자,민주당은 보안사범, 한나라당은 비리 잡범이 많을 것"이라고 공격했다.

민국당 김철 대변인은 전과시비에 휘말리는 후보에 대해 자체 검증을 거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탈당요구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형배 이재창 기자 khb@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