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의 새로운 번영과 화합을 위한 포럼"이 이틀간 일정을 마치고 1일 폐막됐다.

이번 서울포럼은 경제위기 재발방지를 위한 금융부문 협력과 역내국가간 사회경제적 불균형 및 지식격차 완화 등에 대한 구체적 실천방안을 제시, APEC의 새로운 진로를 설정하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세계적 석학과 회원국 고위관료들이 대거 참석해 한국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특히 아시아 위기의 한 원인으로 지목된 헤지펀드 등 단기자금이동의 규제에 합의한 것은 큰 의미를 갖는다.

헤지펀드에 대한 규제 필요성이 커지고 있어 이번 서울포럼 논의내용은 앞으로 각국의 정책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 정부가 추진중인 "생산적 복지" 모델이 새로운 복지모델로 국제사회에서 정착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도 성과로 꼽히고 있다.

서울포럼 논의내용은 오는 9월 APEC 재무장관회의와 11월 정상회의에 보고서로 제출돼 향후 APEC의 정책과제로 논의된다.

<> 국제금융체제 개선 =단기투기성 자본에 대한 통제와 건전한 통화및 재정정책, 금융구조조정의 필요성에 대해 한목소리를 냈다.

회원국들은 헤지펀드를 비롯한 과대채무금융기관(HLIs)의 투기적 행태와 단기자본이동이 초래하는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을 막기 위한 규제 필요성과 공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강화에 의견을 일치했다.

신흥시장국의 경우 과도한 자본 유출입에 따른 안전장치와 국제적 공조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 사회경제적 불균형 완화 =아시아 위기극복 과정서 계층간 빈부격차가 확대되고 21세기 기술혁명, 지식기반경제 시대에 지식격차 등 국가간 경제사회적 불균형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컸다.

지역경제 공동 번영을 위한 새로운 복지패러다임의 중요성이 강조된 배경이다.

또 디지털 경제시대에 지식격차를 줄이기 위해 인력개발 기술이전 사이버교육 등 회원국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 구조개혁과 자유화를 통한 경제위기 극복 =아시아 경제위기는 끝난 것이 아니라 아직도 취약성을 안고 있으며 위기극복및 재발방지를 위해서는 구조개혁을 수반해야 한다는데 공감했다.

대내부문의 경제구조개혁과 동시에 대외부문의 자유화를 추진해 시장친화적인 경제시스템을 만들어야 하며 국제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강현철 기자 hckang@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