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판매되는 태블릿PC 제품 4종 가운데 삼성전자 갤럭시탭 S9 FE+가 가격 대비 성능이 가장 양호한 '가성비' 제품으로 조사됐다. 태블릿 PC의 경우 제품별로 사용 가능 시간이 최대 1.4배까지 차이가 나고 영상, 음향 등 품질과 가격이 모두 달라 제품 구매 시 소비자들의 꼼꼼한 비교가 요구된다.한국소비자원은 삼성전자 갤럭시탭 'S10+', 'S9 FE+', 애플 아이패드 'Air13', 레노버의 'P12' 등 태블릿PC 4개 제품의 품질과 특성을 시험 평가했고 이중 S9FE+가 가장 가격 대비 품질이 가장 우수한 제품이라고 4일 밝혔다.먼저 소비자원은 이들 제품의 밝기·색 정확성·색 영역·밝기 균일성 등 영상 품질을 종합적으로 시험 평가한 결과 삼성전자 갤럭시탭 S10+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고 설명했다.주파수응답·유효주파수·총고조파왜곡률(THD) 등 음향 품질 시험에서는 아이패드 Air13 제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갤럭시탭 두 개 제품은 양호, 레노버 P12 제품은 보통 수준으로 각각 평가받았다.앱 실행에 소요되는 시간과 카메라 품질 측면에서는 갤럭시탭 S10+과 아이패드 Air13 제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용 펜으로 선을 그릴 때 실제 펜과 그려진 선의 이격거리 등으로 필기 성능을 평가한 시험에서도 두 제품이 우수한 수준을 보였다. 다만 소비자원이 태블릿PC의 여러 앱을 반복적으로 실행·종료해 기기가 방전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사용 가능 시간' 시험에서는 갤럭시탭 S9 FE+가 9시간 35분을 기록하는 등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줬다. 가장 짧은 제품은 6시간 53분을 기록한 아이패드 Air13으로 최대 1.4배의
올해 전기차 신차 출시가 줄줄이 대기하고 있는 가운데 '가격 경쟁력'이 화두로 떠올랐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돌파가 절실한 상황인 데다 중국산 저가 전기차까지 국내 시장에 등장하면서다.4일 업계에 따르면 올 초 현대자동차 대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아이오닉9와 볼보 소형 전기 SUV EX30이 출시됐다. 두 모델 모두 경쟁 모델 대비 가격을 확 낮추는 승부수를 띄웠다.현대차 아이오닉9의 경우 7인승은 6715만원, 6인승은 6903만원부터다. 보조금을 감안하면 6000만원 초중반대에 구매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는 동급 전기 SUV인 기아 EV9의 기본 모델 시작 가격인 7337만원보다 600만원가량 낮은 수준이다.EV9은 출시 초반 풀옵션을 적용할 때 1억원을 웃도는 가격으로 판매량 부진에 시달린 바 있다. 지난해 국내 판매량은 2012대에 그쳤다. 현대차는 이를 의식해 출시 초기부터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아이오닉9의 가격을 확 낮춘 것으로 보인다.볼보코리아도 지난해 출시를 미뤘던 소형 전기 SUV EX30의 가격을 낮춰 내놨다. EX30 코어 트림은 4755만원으로 기존(4945만원) 대비 190만원 낮췄고, 울트라 트림은 5183만원으로 기존(5516만원) 대비 333만원 내렸다.특히 상위 트림을 5300만원 아래로 가격을 내리면서 국가 보조금 전액 지급 기준을 맞췄다. 이 때문에 상위 트림도 국고 및 지자체 전기차 보조금 적용 시 4000만원 초반대에 구매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이처럼 업계가 전기차 가격을 내리는 이유는 정체된 수요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다. 특히 올해는 중국 전기차 업체 BYD(비야디)가 국내에 3150만원의 저가 전기차 아토3를 내놓으면서 가격 경쟁이 본격 시작됐다.전기차 보조금 정책도 한
[한경ESG] 2025 대한민국 최우수 ESG 대상상생협력 부문 - 삼구아이앤씨삼구아이앤씨는 안전보건과 장애인 고용 등 사람을 중심에 두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펼치고 있다. 고객과 협력사의 인권, 환경, 안전을 챙기는 것이 ESG 경영의 본질이라는 판단에서다.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이 외에 환경 등 현안도 챙기고 있다.환경과 관련해서는 환경경영시스템과 관련한 국제 표준인 ISO 14001 인증으 취득했다. 2004년 12월 해당 인증을 취득한 이후 매년 내부 심사와 대외 인증 기관의 사후 심사를 받고 있다. 임직원의 친환경 의식을 높이기 위해 환경교육 체계도 구축했다. 지난 2024년부터는 본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환경교육을 진행하고 있다.2023년부터는 ‘제로·원 캠페인’도 진행하고 있다. 캠페인은 갑질 문화 제로, 종이 낭비 제로 등 주제를 정해 월별로 진행하고 있다. 임직원 모두가 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함이다. 또 사내 소식지인 삼구애(愛)를 발간해 임직원의 ESG 실천 문화를 확산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삼구아이앤씨는 사내 소식지인 삼구애(愛)를 발간해 임직원의 ESG 실천 문화를 확산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2023년부터는 사보를 통해 제‘ 로·원 캠페인’도 진행하고 있는데 이는 임직원 모두가 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함이다.안전보건 챙기고 장애인 고용도 활성화 안전보건은 주요 ESG 경영 현안 중 하나다. 삼구아이앤씨는 사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하며 조직의 안전보건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별도의 안전대표를 두고 있다. 또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관련 국제표준인 ISO 45001 인증을 취득해 안전보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