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이 "중동 특수를 능가하는 대북 경협특수"를 언급한 이후 어떤 분야가 경협대상이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추진될지 관심거리다.

전국경제인연합회 김석중 상무는 "김대통령의 발언 수위에 비춰 남북 당국간 심도있는 논의가 오간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남북경협에 정통한 재계의 한 관계자는 "남한과 국제사회의 지원에 의한 북한 SOC(도로 철도 항만등 사회간접자본)건설특수를 대통령이 지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경련 회원사를 비롯해서 재계도 적극적으로 호응하는 분위기이지만 구제적인 재원조달 방안에 대해선 확실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있다.

<> 투자 가능분야=남북 당국 차원의 경협분야는 도로 항만 전력 철도 통신 등 사회간접자본(SOC)분야다.

이들 사업이 남북합의아래 가시화될 경우 남한의 건설업체와 시멘트 메이커들이 1차 수혜자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명호근 쌍용양회 사장은 "북한내 SOC투자가 본격화될 경우 동해공장에서 시멘트를 얼마든지 공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공급과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멘트업계가 활로를 찾을 수 있다.

재계는 정부가 서해 공단 외곽의 기반시설을 구축하는데 우선적으로 지원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했다.

중소기업들에 대북 투자의 길이 열릴 것이란 김 대통령의 발언도 이런 취지에서 나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북한 최고 지도자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북한에 공단 조성하겠다는 현대의 제의를 수락한 바 있다.

공단을 조성하는데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발전소 건립이 반드시 필요하다.

재계는 남북 당국간 투자보장협정만 맺으면 민자를 유치해 북한내 전력사업을 전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남북한 도로 및 철도연결은 우리 정부가 실시설계 등 사전준비작업을 마친 상태여서 북측과의 협상 결과에 따라선 일반의 예상보다 빨리 추진될 수 있는 분야로 꼽힌다.

이밖에 북한 SOC 건설을 지원하기 위해선 항만 통신인프로 분야에 대한 협상도 아울러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비료 공장같은 장치산업 합작은 당장 추진되기는 어렵고 장기과제로 꼽힌다.

<> 전경련등 민간기업의 경협=지난해말부터 장치혁 고합 회장,박승복 샘표식품 회장 등 북한이 고향이 기업인 20여명은 고향투자협의회(가칭)를 구성,대북 투자를 꾀하고 있다.

이들은 최근 북측에 투자계획서를 보냈으며 북한에서 초청장을 받으면 5월께 방북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전경련 산하 남북경협위원회는 오는 10일 모임을 갖고 앞으로 재계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는 경협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남북경협위원회 관계자는 "북한 SOC건설은 현실적으로 대기업들이 주도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화가 최근 주한러시아무역대표부와 교통개발연구원과 공동으로 "철도관련 한-러 협력방안"국제세미나를 개최하고 남북철도 연계와 시베리아-유럽으로의 확장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 것을 비롯해서 상당수 대기업들이 북방비즈니에 의욕을 보이고있다.

이익원 기자 iklee@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