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의 화두는 남북정상회담과 총선에 집중될 수 밖에 없었다.
이런 가운데 4월10일자 3면의 WEFA의 한국 위험도 분석은 국가위험도(Country Risk)를 질적인 척도로 조명해 시선을 끌고 있다.
경제 위기 관리와 시장 경제 확립이라는 두 가지 다른 명제하에 정부의 역할과 외환위기의 선행지표라고도 할 수 있는 외채항목 위험도 분석은 참으로 흥미롭다.
위기관리하의 정부의 역할은 당연하나 바로 그 것이 시장경제의 안정에는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은 깊이 새겨야 한다.
그 동안 정부가 외환위기의 위험성은 제거되었다는 주장과는 달리 단기 부채율의 증가에 따른 외채항목의 위험수위가 오르고 있는 상황도 주시할 필요가 있다.
4월11일자 머리기사는 "남북정상 6월 평양서 만난다"였고 남북 합의문 전문도 다뤘다.
그 밖의 면도 합의 배경 시민 반응 전망 등을 다뤄 머리기사의 관련 기사로 신문을 꾸몄다.
이 가운데 11면에서 "현대 대북산업 날개"라는 기사가 눈에 띈다.
이 기사에서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빛 보는 현대의 사업분야를 다뤄 흥미를 끌었다.
남북정상회담이 경제적으로 어떤 파장을 가져다 줄 것인지 궁금해 하던 독자들의 마음을 간파한 분석기사도 관심을 끌었다.
독자들의 눈높이에 맞춘 기사였다고 평하고 싶다.
다만 아쉬운 점은 현대 한 회사에 한정하지 말고 여러 기업의 대북사업을 함께 다뤘으면 균형감각 있고 폭 넓은 기사가 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물론 4월12일자 머리기사에서 재계의 대북투자를 다루긴 했지만 또 이번 회담이 선거와 증시에 미칠 영향에 대한 심층분석이 부족했다는 점도 아쉬웠다.
12일자 19면에 "들고 갈까-팔고 갈까 총선딜레마"란 기사는 총선 후 주식을 보유하자는 주장과 주식을 팔자는 주장을 각각 그 나름대로의 논리를 토대로 제시하고 있다.
문제는 선거가 임박한 시점에서 긍정론을 내세우는 듯한 인상을 주었다는 점이다.
총선 후 주식시장 전망에 관한 기사는 찬반양론 기사뿐만 아니라 그동안 총선 후 주가 등락과 같은 지표를 충분히 제시해 독자의 판단을 도왔다면 더 돋보였을 것이다.
13일자 1면과 3면에 "첨단주 폭락 벤처갑부 재산 반토막"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새롬기술 등 코스닥에서 잘나가던 주가가 불과 1개월만에 반토막이 났다는 것이다.
이런 종류의 기사가 주식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한번쯤 고려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벤처거품을 조성하는데 언론이 한몫 했다는 주장도 있다.
또 벤처 때리기에 언론이 앞장서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14일자 1면에 "금융 2차 개혁 가장 시급"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민간 및 국책 연구기관 10곳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총선 후 경제현안으로 금융개혁 물가안정 남북경협추진 대기업 구조개혁 등을 꼽았다.
총선후 경제 현안인 금융 구조조정은 시급함을 보여주었고 은행 구조조정 방식은 은행 자율과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의견으로 절반씩 갈렸다.
정부대응으로는 "구체적 조치를 신속히 내릴 것"으로 주문했다.
구조조정은 시간과의 싸움이다.
그 동안 정부는 총선이라는 정치적 변수를 고려해 금융구조조정을 뒤로 미뤘다는 항간의 지적이 있다.
이러한 선택이 불가피한 것이었다면 정부는 총선기간 동안 구조조정을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하는 등 준비를 게을리 하지 말았어야 한다.
독자들은 한국경제의 편집방향이 섹션별 편집추세로 개선되고 있음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아직은 섹션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중복되어서 전체적으로 독자들의 혼란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4월10일자의 Money 섹션은 증권 섹션과 중복 될 수가 있고 분석과 전망이라는 별도의 섹션이 과연 효과적일까 하는 의문이 들 수 있다.
스포츠 기사 사회 기사 등도 종합일간지나 전문지와의 차별화를 느낄 수 없으므로 지면의 낭비로 볼 수 밖에 없다.
오히려 Wall Street Journal과 같은 전문지로의 차별화 확실히 구분되는 섹션화를 추구해야 하지 않을까 조심스러운 제안을 한다.
kb-kim@mastercard.com